심리학 전공이 궁금하신 분들 도와드릴게요~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10299121
대학생 방학이라 시간이 많으니
제가 안 바쁠 때 이렇게 종종 글 올려서 도와드리고 싶네요.
근데 진짜 오르비는 이과+정시 위주 같아서
심리학이나 혹은 심리학과 자소서 이런 거에 관심있는 사람이 별로 없는 거 같아요ㅠㅠ
저는 연세대 심리학과 재학 중인 남학생입니다.
제가 고딩 때 전공에 대한 정보도 정말 모르고 그냥 무작정 내신/수능 공부하다가
자기소개서 쓸 때 왜 이 전공으로 지원하냐는 자소서 질문에
쓸 말 없어서 엄청나게 고심했던 기억이 납니다.
고1,2 때 미리 전공 탐색도 해보고 대학생들 얘기도 들어보고 했더라면
훨씬 좋은 자소서가 탄생할 수 있었을 텐데 말이죠.
그래서 방학에 시간 남는 지금!
심리학 전공으로 대학 지원하려는 분들 계시면 좀 돕고 싶네요.
자소서 쓰시는 분들은 좀 도와드리고, 심리학에서 배우는 게 어떤 것들이 있는지 진로는 어찌 되는지 그런 것들도 제가 아는 범위에서 알려드리구요(참고로 임상/상담심리학에 관심 있는 분들이면 제일 좋습니다. 심리학의 나머지 분과에 대해서는 제가 빠삭하게 알지는 못합니다)
처음엔 모교에 찾아가서 심리학 전공에 관심있는 애들 모을까도 생각했지만, 모교는 제 집이나 현재 다니는 대학교에서 찾아가기엔 좀 멀구요(직접 찾아가기도 귀찮고;;)
신촌 근처의 고등학교에 다짜고짜 찾아가서 '심리학 전공에 관심 있는 고등학생들 좀 돕고 싶습니다' 이렇게 하는 것도 좀 이상하구요;; 모르는 외부인이니 선생님들이 허락해줄지도 의문이구요.
남은 선택지가 딱히 떠오르지가 않더라구요. 그래서 여기에 왔습니다 ㅋㅋ
댓글이든 쪽지든 물어봐주세요. 항상 상주하면서 대답해드릴 순 없겠지만
틈틈이 들어와서 알람 확인할게요. 근데 이렇게 써놔도 막상 심리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별로 없어서 알람이 거의 없더라구요 ㅋㅋㅋ
수능 공부법 등은 전 대답해드리고 싶어도 대답해드릴 수가 없구요(수시로 온 데다가, 수학은 그냥 신승범 들으면서 했고 영어 국어는 어렸을 때부터 잘해서 항상 98~100이었습니다. 공부법 전혀 모릅니다...ㅠㅠ)
입시 끝낸 지 4년 넘어서 수시니 정시니 입학사정관이니 하나도 모릅니다. 질문하지 말아주시구요ㅠㅠ
심리학이 뭐하는 학문인지, 진로는 어떻게 되는지, 심리학과 수시 지원 시 자소서 어떻게 쓸지 등등 잘 모르신다면 질문해주세요~ 직접 만나자고 해도 OK입니다 ㅋㅋㅋ 저는 신촌 거주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진심갓곡
-
그럼 나도 줘요
-
이런 누추한 곳에 오게 되어 영광입니다
-
ㅂㅇㄹㅂ님 3
안녕하세요
-
수명을 돈으로 환산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렇다면 난 내 1년만 남겨두고 사랑할거야
-
옯인싸되는법뭐지예전에는똥글쓰명 저절로옯인싸됫던거같은데
-
벡터로 직선표현 <------이게 ㅈㄴ 어렵네;;;;
-
나도덕코줘 4
응애
-
여가부에서 여성형 안드로이드의 인권 보호를 위해 주인과 안드로이드의 성적인 행위...
-
시우 : (그에게 무한정 쏟아지는 종신 댓글) 종신 종신...오키..! 일단 제가...
-
난 덕코주라해도 많이 안주던데
-
2025 서울대 정시 지원자/예비 합격자를 위한 정보글 0
글 특성상 상당한 장문입니다. 여러 개의 문서에 흩어져 있던 정보들을 취합하여...
-
7만덬 주실 분 15
9만덬으로 갚아드림 언젠가
-
감상평) 이번 문제들은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상당히 높으며, 단순한 어휘력이나 직관적...
-
참아야지
-
에휴
-
맨날 뜨노 ㅅㅂ
-
술먹고노래방특) 1
자기차례아닐때 술 점점 깸 ㅌ
-
빠워빠워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역시 난 설뱃이 맞아 10
이게 훨씬 어울려
-
인싸 따라하기다 돈낭비다 오명 개많음 돈값만큼 이뿐거 많은데 ㅠㅠ
-
아직안끝났다구요
-
1년을 기다리고 있어 11
기다리ㄴ는 중이야..
-
답은 안드려요
-
나는 잘하는게 잠자기밖에 없음 하루에 17시간 자기 ㅆㄱㄴ
-
심심혀
-
찌질락러버로써 여긴 진짜 레전드
-
물리 진짜 1
방인혁T vs 강민웅T 누굴 들을까요 오티 들어봤는데 둘 다 좋았어요ㅛㅛㅛㅛ 누구를...
-
제목보고들어온옵붕이먄 질문좀해주셈
-
난 행복함 4
나는 행복합니다
-
그럼 돼요
-
수험생활 핑계대고 한번도 안가봤음 난 치매라는 뱡을 가까이 본적이 없어서 대면하기...
-
그래도 얘가 가성비 goat인데 고진많 고를걸그랬나
-
[빈칸] 3점. The conventional wisdom often adapts...
-
장수생의 길
-
부조문자 날라왔는데 장례식장 안가서 그런가 마음 무겁고 찝찝하네
-
점공 0
점공 현황보고 붙을지 안붙을지봐주실분 댓이나 쪽지주세요.. 미치겠네요
-
오르비언들 구해요
-
닉바꿈 7
헤헤
-
호날두 레전드 0
대성마이맥 수학쌤들 비교 좀 해주세요...너무 유명하신 분들이 많으신데 특징도 좀 알려주세요.
-
근데 5
드레이븐이
-
집앞에 시대인재 있는데 시대인재 문제 퀄리티가 좋다길래 문제받으러 다니는거 괜찮나...
-
에타 가입하고싶은데 합격자인증이안되요;;
-
일단 자기 외모부터 가꾸는 것도 중요함 얼굴 갈아엎으란 소리가 아니라 잘 씻고...
-
근데 8
수능이 더 중요한 것 같음
-
진짜 급합니다 1
대성패스만 사고 강의 들을때 책을 강제적으로 안사고도 들을 수 있죠?
-
내가 테러리스트가 되겠다
-
혼자가 좋음 2
ㅇ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심리학이랑 대학에서 배우는 심리학이 괴리가 크다던데... 맞나요
ㅋㅋㅋ 네 맞습니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심리학 중 제일 유명한 건 상담심리학이겠고, 그 외에는 범죄심리학이나 성격심리학 등등이 있겠죠? 근데 대학 와서 배우시면 아시겠지만 현대 심리학의 메인은 실험심리학, 그 중에서도 인지심리학입니다. 과학적인 실험 패러다임을 이용하는 이 분과는 현재 심리학계를 휩쓸고 있죠. 그리고 인지와 연결된 '인지신경과학'은 그냥 뭐 대체 왜 문과대에 소속되어있는지 모르겠을 정도로 이과적입니다. 이번 학기에 푸리에 변환, 혈역학반응, MATLAB 이런 거 배우느라 머리 빠지는 줄 알았네요.
아무튼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ㅋㅋ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심리학은 그냥 성격 연구하고 정신병리나 속마음 연구하는 학문 이 정도로 추상적으로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통계와 과학적방법론을 꽤나 심도깊게 마스터해야 하는 학문입니다. 그리고 신경계와 뇌 부위, 신경전달물질 등도 당연히 다 암기해야 하구요(물론 의대나 간호대가 암기하는 것에 비해서는... 비교가 안 되지만요). 영어+통계+방법론(요인설계 혼합설계 라틴스퀘어설계 역균형화 등등)이 심리학에서 매우매우 중요하다는 걸 고등학생들이 얼마나 알까요...ㅠㅠ 이런 걸 알리려고 제가 이런 짓을 합니다 ㅋㅋ
할 말이 너무 많아서 오히려 횡설수설 하게 되네요. 그냥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심리학과 신입생들이 처음 듣는 '심리학개론'에서 1장이 심리학의 역사이고, 2장부터 바로 생물학/생리학이 나온다는 점에서, 말씀하신 그 '괴리'를 확실하게 느낄 수 있지요.
학부 졸업해도 쓸모없다는데 취업은..?ㅜ
일단 '쓸모없다'는 표현은 좀 자제해주시는 게 어떨까요? 전공을 사랑하고 전공에 대해 알려드리려는 사람한테 이런 표현을 쓰시는 게 조금 무례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적절한 어휘가 많잖아요?
아무튼 말씀하시는 논지는 알겠습니다. 전공을 살리려면 무조건 대학원을 진학하셔야 하고, 학부만 졸업해서는... 자격증을 딸 수 있는 세부 분과가 몇 개 있긴 한데, 그 분과들도 석사 이상을 당연히 우대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학부졸은 많이 차별받죠.
학부졸업 후 취업은 그냥저냥 문과 다른 과들이랑 비슷합니다. 별 특별할 것도 없고 그렇죠. 다만 통계를 잘 돌린다면 리서치 기업이나 뭐 그런 데 취업하기가 상대적으로 쉽다고는 들었습니다. 아무튼 학부 졸업 후 취업 생각하는 사람들은 상당수 경영 경제 응통 복수전공하는 듯합니다.
강박증 어떻게 극복하나연
1. '진단'받을 정도로 심각한 강박장애라면 여기에 묻지 마시고 병원이나 상담센터를 찾아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2. 노출+반응제지 및 인지행동치료로 치료합니다. 이 키워드로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해보시면 잘 나옵니다.
쪽지해도되나요?
네~
고딩때까지만해도 심리학과 가고싶었는데..... 역시 제가 생각했던 것과는 많이 다르네요. 혹시 고등학교 심리학동아리에서는 어떤 활동을 하는 게 좋을지에 대한 조언도 해주실 수 있나요? 제가 활동할 때에는 주로 고교생 심리학 교실 참가 혹은 강연 듣고 보고서 쓰기, 관련 교양서적 읽고 토론하기 정도였는데, 어떤 것을 더 추가해야 내실있는 활동이 이루어질까요?
글...쎄요..ㅠㅠ 본문에는 안 적었지만, 저는 수시로 대학에 진학하긴 했지만 심리학과로 진학한 것은 아니라ㅠㅠ 저는 심리학과로 전과를 해서요...
고교생 신분으로 할 수 있는 것이라... 학생들끼리 심리학개론 스터디하기 이런 건 별 효과가 없을 거 같기도 하고 있을 거 같기도 하고ㅠㅠ 심리학개론을 읽어보고 난 후에도 심리학과로 진학한다는 것은 어쨌든 막연한 환상만 품고 오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니까 괜찮을 거 같기도 하고...
전문가들한테 이메일 보내서 인터뷰 하는 활동도 좋아보여요. 희망 진로가 훨씬 뚜렷해지고 생생한 체험으로 다가올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통계+연구방법론+영어가 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통계나 방법론 관련 등의 주제로 스터디나 활동을 해볼 수도 있겠구요. 가령 ANNE MYERS의 '실험심리학'이라는 책을 보면 심리학의 연구방법론에 대해 자세히 나와있는데, 그걸 토대로 가벼운 실험을 짜서 주위 학생들에게 참가자로 참여하게 하고 실험 결과를 도출해보는 활동도 좋구요 ㅋㅋ
저도 심사위원이 아니라 그분들이 어떤 활동을 좋게 보고 어떤 활동을 시시하게 보는지 모르겠네요! 그렇지만 제가 말씀드린 가장 마지막 항목(직접 실험 짜보고 돌려보기)이 제일 좋아보이긴 합니다 ㅋㅋ
이과도 심리학과지원할수있는대학이있나요...?
입시 모릅니다
고등학생이 할 수 있는 심리관련 활동에는 뭐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