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모의고사 관련..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12628192
![](https://s3.orbi.kr/data/file/united/832953389_rZfs9v27_EC9CA4EC82AC20EBACB8ECA09C.png)
윤리와 사상 모의고사 출간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테스트용 문제 두 문제를 여러분들의 평가를 받고자 합니다.
(물론 이 두 문제는 모의고사에 실려 있지 않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막상 달고나니깐 별거 없네
-
빵임? 원서 접수기간에는 폭이였던거같은데 여론 각자 의견 ㄱㄱ
-
。◕‿◕。
-
여르비 판별법 2 13
가령 댓글로 여자신가요? 여르비심? 하면 남자들은 yes / no로 답 하는데 찐...
-
국어도 가면 갈수록 수험생들 실력이 느는 게 체감됨 14
그냥 기출 정답률 보고 계속 수능 보니까 그리 느낌
-
어떤공식이 젤 정확함뇨??
-
같은 집단내에서 여자가 나보고 저렇게말하면 진짜 실망한거겠지
-
24년 10월 시험 오늘 쳐 봄 국어 수학만 국어 2 확통 3 느낀 점 라떼이즈...
-
지금 20학번으로 대학 다니는 중입니다. 올해는 휴학하고 수능 준비할 예정입니다....
-
있음뇨??
-
여자 글씨체 판별법은 21
기울기가 왼쪽은 낮고 오른쪽은 올라간 상태인가 이걸로 대부분 걸러지고 그리고 악필일...
-
하 누구랑 결혼하지
-
으아아아악 응애 아기 호시카와 연애하구 싶어요
-
고트치즈 진짜 씨.빨 썩은내나고 내 처음으로 유일하게 진지하게 빨던 여돌을 이제...
-
맞팔구 0
날마다 오는 기회가 아니에요
-
미드와 원딜에 이어서 탑까지 평정해버리는
-
11덮 국어 보신분 컴 14
제가 98점이였는데 수능은 90점 백94 떳는데 이게 무슨 쓰레기좆같은경우일까요?
-
이제 삼수고 작년 언매는 다 맞았습니다. 작년엔 체크메이트 언매랑 언매 파클이랑...
-
안자는 이유 4
숏츠 못 참는 중
-
이등병의 편지 들으면서 공부하면 정신 좀 차려지던데 이제 그러다가 육군 군가...
-
용혁아 그렇게 된것같다 바이는 이제 미드 바이로 알고 있을게 다른 챔폭 깎아 오는걸로 알고 있을게
-
좆.노맛이니 블루베리 냉동 개쳐박고 꼭ㄱㄱ 나 ㄹㅇ 한약먹고 양약먹고...
-
넹
-
아직 안잠 2
-
노래 끊기 3
노래, 각종 도파민(유튜브 등) 완전히 다 끊은지 1달 정도 된 현역입니다 유튜브...
-
잠이 안온다 4
생각이 너무 많아
-
메디컬 컨설팅 받았는데. 머 아직 추합 돌려면 담주까지 기다려야 되지만 점공 등...
-
고딩때 같은반이던에 현역때 국숭성적이였던걸로 기억하는데 시대 1년 다니니까 이번엔 설자전 가네
-
숭실대 화학과인데 추합도 안되겠죠…ㅜㅜ
-
언젠가 서울대를 붙어서 16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다닐때 알던 사람들한테 연락오면 무슨 기분일까... 엄청...
-
개똥손이긴핳네
-
https://sbz.kr/zdk1D
-
46키로달성 0
몸무게 정상화
-
명심하기
-
정시한다고 끝까지 세특 안내고 버텼는데 나중에 보니 쌤이 분량 꽉 채워서 다 써주셨음
-
음음
-
으아배아파 0
아아어아으으아으으아
-
추합될것 같은 곳 새터 신청 마감일이 정시 추합 나오기 전인데 이럴때 사정 말하면...
-
오늘은 진짜진짜 자러감 맹세함.
-
두번째 노란색 표시한 게 우편제출한것만 24일 이후에 내도 장학금 준다는 말 맞죠?...
-
고삼 제일 큰 의문 18
진짜어케햇노 ㅋㅋ
-
아 홍익이여… 1
교통 최고고 시설 짱이고 사람 없고 한산한 2지망 대학보다 교통 불편하고 사람...
-
재수해서 연경 갔네 반수생각도 있다던데 반수칼럼 어떻게 전수해줄지가 고민이네
-
기무탄 << 여기를 더 조심해야됨 헌급방공이 힘들다 피곤하다 정도면 기무탄은 걍 무덤임
-
https://sbz.kr/zdk1D
-
왼손으로 잡을때랑 오른손으로 잡을때랑 무게감이 다른거 저 좌우밸런스가 안맞는다는걸 이때 알게됐어요
-
서울대처럼 그냥 안받는건가요ㅜㄴ
-
좋은 인연을 놓쳐버렸던게 아쉽다
-
등록 하고 해야하나
ㅜㅜ 꼭 만들어 주세요 ㅜ 1,2,가 답인가요?
넹 ㅋㅋ 맞아용
1번 2번인가용?
넹 ㅋㅋ 맞아용
너무 좋아요 ㅎㅎㅎ
감사합니다 ㅎㅅㅎ
간단하게 한 문제 더 첨부해 보았습니다.
갑은 아리스토텔레스고 을은 공동체 주의자인 매킨타이어네요. 제가 수능 칠 때는 매킨타이어를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아 정답은 못 고르겠지만요.
저도 출간까지는 아니지만 재수할 때 한 9말부터 10중까지 윤사 온라인 모고를 출제해 본 적이 있긴 한데, 저와 당시 공동 출제자가 그때 가장 신경을 썼던 것은 가 새로운 것(여타 교과서, 기출 문제, 연계 교재에서 다루지 않은 것)이되, 교육과정상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만으로 추론이 가능하여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부분도 신경을 써주는 모의고사이길 바랍니다.
2016 수능대비 수능특강 62페이지 1번 문제 선지 2번 - 존재의 실상을 몰라 모든 것에 집착한다.
해설 - 현실 세계에서 인간이 고통을 겪는 이유는 존재의 실상을 몰라서, 즉 무명(無明)으로 인해서 집착하기 때문이디.
2016 수능대비 수능완성 44페이지 1번 문제 선지 1번 - 존재의 실상을 파악하는 지헤를 길러야 하는가? (문제의 선지입니다.)
해설 - 불교는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 등의 존재의 실상을 파악하는 지혜를 중시한다.
과년도 수능연계교재(2년 전 연계교재입니다.) 에 직접적으로 나온 선지인 만큼, 교육과정상 배운 내용으로 풀 수 없는 문제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이 문제는 기존에 많이 보았던 단어인 '실체'라는 단어와(그리고 항상 오답이었던 단어) 대신 '실상'이라는, 약간 낯선 단어의 의미와의 차이를 제대로 잡아내지 못한 데서 오는 실수를 유발하는 문제이지, 교과과정상에서 추론할 수 없는 내용을 담고 있는 선지라고는 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이 선지를 직접적으로 공부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불교는 사람들이 사물에 실체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에 집착하기 때문에 모든 고뇌가 생겨난다고 생각해. 다시 말해서, 모든 존재는 무상하다는 진리를 모르기 때문에 사람들이 고통에 빠진다고 보지. 그러니까 '모든 존재가 무상하다'는 만물의 '실상', 다시 말해서 만물의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을 깨우쳐야 한다고 본다는 선지는 맞겠네.' 라고 추론하는 것이 교과과정의 내용을 벗어난다고 생각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해당 문항의 해당 선지에 대해 제가 추론할 수 없다고 한적은 없었는데, 과잉 반응하시네요...
그게 아니라면 저 개인적으론 문과에서 더 갈만한 대학도 없어서 굳이 수능칠 필요도 없는데, 너무 과한 친절이시고요.
아마 제가 "교육과정상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만으로 추론이 가능하여야 한다는 것"이라는 점에서, "교과과정에 해당하는지 모르겠다"고 적은 것이 비판으로 생각하신지 모르겠는데, 저는 교육과정으로 추론만 가능하다면 교육과정에 국한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므로 저 언급으로 어떠한 비판을 하고자 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 또한 두 번 정도 orbi Q에 문제를 올리면서 느낀 점은 모의고사 문제들은 단순히 비비 꼬거나 지엽적인 내용을 다루기보다느 교육과정상의 문제(교육과정에 벗어나거는 상황)나 선지의 곡해(저의 의도와는 다르게 선지가 읽힐 수 있는 상황)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었고, 그래서 실제로 이 모의고사 문제를 만들 때에도 모의고사를 구매해서 푸시는 분들이 궁금해 하실 만한 선지들(밑에 댓글에 달아 주셨던 '존재의 실상에 대한 지혜' 와 같은 선지)에 대해서는 그 내용을 납득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시는 만큼의 해설을 첨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의고사에 대한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덧) 가능하시다면 제시문은 논문이나 원전 참고하여 제작하시면 수험생에게 더욱 도움될 것입니다.
이거 답 뭔가여
3번문제 보기 1번 해설 알려주실 수 있나요?
도덕적 지식인 지성적 덕 + 이를 바탕으로 한 반복적인 실천을 통해 품성적 덕까지 획득해야 덕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앗 제가 잘못 적었네요 첫번째 문젠데 번호가 3번으로 되어있어서....불교 문제요!
http://studybuddha.tistory.com/152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483&cid;=40942&categoryId;=31543
현행 윤리내에서 교과과정에 해당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소거법으로 충분히 풀 수는 있네요.
교과과정 맞아요. 교과서에도 나오는 표현입니다! '자아의 실상을 파악해야한다' 이전 기출에서도 한번 다뤄졌던것 같아요
우선 문제의 직접적인 출처는
2016 수능대비 수능완성 44페이지 1번 문제 선지 1번 - 존재의 실상을 파악하는 지헤를 길러야 하는가?
해설 - 불교는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 등의 존재의 실상을 파악하는 지혜를 중시한다.
입니다.
만약 저 선지를 접해 보지 않았더라면, '불교는 사람들이 사물에 실체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에 집착하기 때문에 모든 고뇌가 생겨난다고 생각해. 다시 말해서, 모든 존재는 무상하다는 진리를 모르기 때문에 사람들이 고통에 빠진다고 보지. 그러니까 '모든 존재가 무상하다'는 만물의 '실상', 다시 말해서 만물의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을 깨우쳐야 한다고 본다는 선지는 맞겠네.' <
오오 윤사러는 닥추!!! 혹시 제가 작년에 만든 윤리모의고사도 한번 봐주실 수 있으세요?
헤헷 시간이 있을 때 꼭 볼게요!! 보고 댓글 달게요 ㅋㅋㅋ
원문 선지 다 어느정도 난이도 있고 좋네요! 나오면 살 거 같아용
오호 감사합니다 ㅠㅠ
저는 꼭 살거같아요! 문제 너무 마음에 들어요
헉 감사합니다 ㅠㅠ 출판할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당 ㅎㅅ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