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2 하는분 잠깐와보세요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17467207
dS계랑 dS주위랑 dS전체의 차이를 못느끼겠어요... 문제풀면서 보면 dS계구하는방법이랑 dS전체구하는방법이 발인지 비자발인지 판단하는것으로 똑같은거같은데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너의 너에게 올인 올인
-
손가락 걸고 약속하는 거 말고 문제 풀 때요
-
시립 vs 경희 2
둘 다 0원이라면 어디 가는게 낫나요?
-
투과목 하지마라 11
올해는 하지 마셈
-
갑자기 두려워ㅓㅓㅓㅓㅓㅓ~
-
배터리 2퍼인데 8
충전기 꺼내기 귀찮아서 그냥 있음
-
여돌무대 이런거좋다 16
더 업냐
-
독서 문학 화작 다 사야 되나요? 독서랑 문학은 연계인 거 아는데 화작도 연계인가요???
-
왤캐 다 귀여움 8
나만빼고
-
임정환 풀커리 + 현돌? ...사탐 공부는 한번도 안해봐서ㅓ..ㅠㅠ 혹시 사문은...
-
미1=확1 5
맞음?
-
왜 또 5퍼나 떨어졌어 내 돈 돌려내
-
고대 국어 국문 교과우수 720.23 예비 2번 추합 가능한가요?
-
어차피 갈 건데 꿈으로는 나오지 말아줘
-
한양대 철학 929.41 예비 2번 추합 가능할까요??
-
오르비 성공했구나
-
함 봐볼까
-
ㅈㄱㄴ
-
얼버기 4
-
얼버기 6
-
교주빈 2
이게 뭔일이냐
-
화1과 화2를 동시에 공부해서 잘 나오는걸 선택하는건 어떨까요??? 12
별 생각이 다 드네요ㅜㅜㅋㅋㅋ
-
넓이비로공비구해야하는데길이비로쳐구하고있음아 ㅋㅋ
-
언매는 개념 유베이스고 기출분석하는 단계라 가정할때 공통이랑 언매 공부시간...
-
죄송합니다안타깝다고하려고한거에요뭐가불쌍해내가버러진데.
-
그럼 E는 뭐임 이스튼가 그럼 W는 뭐지
-
혈관을막아라
-
연건을단 택했는데 아무리봐도 거기는 믿음이 안갔는데 흠
-
근육 무게라곤 하지만 체지방률도 꽤 있어보이는데 그냥 기본적으로 얼굴에 살이 잘...
-
투표 한번씩 만 부탁드려요 공통수학1기준 마더텅 vs 자이스토리 현예비중2-...
-
ㅠㅜ
-
국장 중단? 1
어차피 안 받아서 상관 없긴한데 뭔가 슬프긴 하네
-
아침 ㅇㅈ 4
-
공전 속도가 같아도 거리가 다르면 시선 속도가 다를 수 있다는데 이거 맞나요?...
-
연세대 제발
-
신의 존재 증명 2
p가 거짓이면 p->a도 참이고 p->b도 참이다 즉 어떤후건이든 거짓전건만...
-
쌩재수할거면 걍 재끼면 되는거죠?
-
잘어울리는듯 이거 몇명까지 파란테임?
-
버스가 새벽에도 끊기지 않는다는 건 혁신임 ㄹㅇ
-
별로인 듯함
-
습관됨 직업병이다
-
수학 강의해드림 0
열심히 하셈
-
지방특) 버스가 서울 지하철보다 비쌈
-
점심먹을분 2
저는안먹을듯
-
질문)수학기출 1
이거 몇학년도 이후부터 보면 되나요?
-
수2 강의해드림 9
야수의 심장으로 개형 하나 찍고 그걸로 쭉 킵고잉하셈
-
특히 환승<---이거 진짜 미쳤음 ㅋㅋㅋㅋ
-
다 옮겻다 2
에휴이
-
대학 성적이요 그냥 진짜 궁금함 의대는 과나 병원 고를 수 있는 건가 싶은데 나머지는 가늠이 안됨요
entropy는 extensive variable 입니다. 즉, net entropy를 구하려면, 각각의 entropy를 linear하게 더하면 되지요.
거기서, S(tot)=S(sys)+S(surr) 가 나온 것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은 우주(universe) 입니다. 즉, 우리가 주변에 보는 모든 반응은 어떻게 보면, universe가 system(정확히는 isolated system) 입니다. 즉, 자발적인 반응은 universe의 entropy가 증가해야 일어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 universe는 열역학적으로는 isolated system이기에, universe의 net entropy가 증가하면 그 반응은 자발적인 반응이 됩니다. (구지 반응이 아니라도 모든 열역학적 과정도 다 포함됩니다.)
즉, 우리가 임의로 잡은 system (ex: 지구, 실험실 안 비커 등등) 은 universe에 속한 부분집합에 의한 것이고, 이 system안의 entropy는 universe전체의 entropy의 일부입니다. 즉, 우리가 임의로 잡은 system의 entropy가 감소한들 system외의 universe (다른 말로 surrounding) 의 entropy가 증가하면, net entropy(universe entropy)가 증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만든 것이 free energy 입니다. free energy (G) = enthalpy(H) - T(temperature)S(entropy) 로 정의된 것이 바로 gibbs free energy 입니다.
위 식을 한번 미분해보면,
dG=dH-(dT)S-TdS=dH-TdS 입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등온과정임을 가정합니다. 근데, 글쓴분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더 언급하지는 않겠다만, 이게 사실 엄청난 모순입니다.)
우리가 아는 공식이 나왔네요.
위 공식이
dS(net)=dS(system)+dS(surrounding) 에서 도출된 식이라고 화2 교과서에서 봤죠? 실제로 위의 내용도 논의해주면 조금 더 좋을텐데, 교과서에선 너무 이를 simple하게 논의했더군요.
system에서의 엔트로피 증가가 univers에서의 엔트로피 증가로 이어지진 않는건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직관적으로 system에서 엔트로피가 증가했다는건 어떻게 판단해야하나요? 고등수준에서 system에서는 무질서도, universe는 자발적반응의 유무 정도로 엔트로피의 증감을 판단하면 될까요?
'무질서도' 라는 표현은 상당히 잘못된 표현입니다. 이게 엔트로피가 사회과학쪽으로 들어가면서 'disorder' 라는 이상한 개념으로 변질된건데, 무질서의 정도로만 생각하면 엔트로피에서 굉장한 오개념을 불러일으킬 수 있죠.
일단, 화2 교육과정에선 계수 비교를 통해 dS(dot) 을 판정하라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계수비교법은 오직 표준 엔트로피를 관찰할 때만 쓸 수 있습니다.
universe의 엔트로피는 그냥 자유에너지의 부호 또는, 어떤 것이 자발적으로 일어나면 그냥 쉽게 판정할 수 있죠.
화2 교육과정에서 S(system)의 부호는 표준상태에서의 부호밖에 알 수 없습니다.
나머지는 시험에 안나옵니다.
궁금하면, 제가 올린 글 한번 참조해보세요.
넵 늦은시간에 정성스런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