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곰팡이 [396887] · MS 2011 · 쪽지

2012-03-02 17:49:15
조회수 5,099

서울·연세·고려대생 35%가 ‘상위10% 자녀’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2816656




서울·연세·고려대생 35%가 ‘상위10% 자녀’

한겨레 | 입력 2012.03.02 08:40








[한겨레]올 국가장학금 신청자 분석


월소득 900만원 이상, 4년제대 평균의 1.5~2배


"소득격차가 학력격차로" 부의 대물림 악순환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등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40%가량이 소득 상위 10% 안에 드는 최고소득층의 자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 하위 10%에 속하는 최저소득층 자녀의 비율은 4년제 대학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대학이 부를 대물림하는 통로가 되고 있다는 우려가 사실임을 확인시켜주는 통계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안민석 의원(민주통합당)은 1일, 한국장학재단에서 제출받은 '2012학년도 국가장학금 신청자 소득분위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대학별 재학생 가정의 소득 자료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자료를 보면, 서울대(36.7%), 연세대(35.1%), 고려대(37.8%), 카이스트(37.3%), 포항공대(37.9%), 이화여대(43.8%) 등 상위권 대학 국가장학금 신청자의 35~44%가 10분위(소득 상위 10%, 월평균 가구소득 923만원)에 속하는 최고소득층 가정 자녀들이었다. 이는 전국 4년제 대학 평균 10분위 비율(21.2%)의 1.5~2배에 이르는 수치다. 올해 전체 대학생의 83%가 국가장학금을 신청했고 소득이 많을수록 장학금 신청에 소극적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 대학의 최고소득층 자녀 비율은 이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상위 10개 대학의 소득 하위 10%(기초생활수급권자와 1분위, 월평균 가구소득 76만원) 자녀 비율은 8.7%로 4년제 대학 평균(12.9%)에 크게 못 미쳤다. 이화여대(7.0%)와 포항공대(7.4%)는 절반 수준에 그쳤고, 국립대인 서울교대(7.6%)도 별로 다르지 않았다. 하위 10% 비율이 평균보다 높은 대학은 한 곳도 없었으며, 연세대(11.4%)가 그나마 평균에 가장 근접했다.

반상진 전북대 교수(교육학)는 "부모의 소득이 학생 성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는 교육을 통한 부의 대물림 현상이 생길 수밖에 없다. 정부가 기회균형선발 등 차별시정 정책을 펴야 하는데도 대학 자율만 강조하다 보니 양극화가 고착화한다"고 설명했다. 안민석 의원은 "고소득층 비율이 높은 상당수 대학들이 2000년대 들어 등록금을 대폭 올려왔는데, 고액 등록금이 이런 악순환을 심화시킨 게 아닌지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진명선 기자torani@hani.co.kr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pperception · 194143 · 12/03/02 18:01 · MS 2017

    35%에 많게는 10%~15%정도는 더 더해야 될겁니다...국가장학금 신청자기준이니까...

  • illuminterk · 401338 · 12/03/02 18:12 · MS 2018

    이런 기사보면서 드는 생각인데 과연 부의 대물림 현상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게 맞는걸까요??

  • 펭귄맛 · 389525 · 12/03/02 19:04 · MS 2011

    애당초 개인의 재능, 노력, 성취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부모 잘 만났다는 '운'이 보상을 좌지우지한다면 윤리적으로도 옳지 않고 사회 전체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겠죠.

    더구나 부유층 애들이 경제적인 부 뿐 아니라 학력 등의 요소들까지 세습될 경우 계속해서 사회는 상층의 이익을 위주로 굴러갈 거구염.

  • 라르페 · 410272 · 12/06/23 21:02 · MS 2012

    롤스의 정의의 원칙을 생각해보세요.

  • LordoFdream · 339779 · 12/03/02 18:23 · MS 2010

    부유한 집안과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는건 랜덤이기때문에 이걸 형평성을 맞추게해야죠 .

    부유한 집안 자녀들이 대학을 잘가는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 illuminterk · 401338 · 12/03/02 18:29 · MS 2018

    그런데도 부유한집안의 자제가 객관적으로 볼때는 환경에 의해서 조금 더 뛰어날수도 있는건데 형평성을 맞춘다면서 그 사람의 기회를 앗아간다고 할수도 있지 않나요?

  • 펭귄맛 · 389525 · 12/03/02 19:01 · MS 2011

    윗님 얘기도 님 얘기랑 상충되는 얘기가 아닌 것 같은데....

    그러니까 애초에 부유한 집 애들과 가난한 집 애들이 가진 배경의 격차를 줄여서 능력, 성취의 격차도 줄이는 게 맞다는 얘기인 듯.


    그런데 주의해야 될 것이, 부유층 자제들에 비해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의 자녀들은 실제 잠재력이 저평가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가령 경제적으로 풍족한 경우는 머리가 그리 좋지 못해도 수능 공부 줄창 해서 어떻게든 괜찮은 성적을 받는 반면,

    그렇지 못한 경우는 머리가 좀 좋아도 수능 공부에 충분히 투자하지 못해 비교적 성적이 낮다든가....

  • illuminterk · 401338 · 12/03/02 22:18 · MS 2018

    그렇군요^^

  • LordoFdream · 339779 · 12/03/02 19:50 · MS 2010

    그러니까요 ㅎ 부유한집안의 자제가 객관적으로 볼때 실력이 좋으면

    상관이 없겠으나 님이 쓰신대로 환경에 의해서 격차가 벌어진다면 형평성을 맞추어야겠죠 .

    그리고 기회를 앗아간다기 보다 최대한 비슷한 환경과 투자를 받았다는 전제하에 경쟁을

    하자는 거죠 . 가난한 집안에 태어난 애가 그 집안에 태어나고 싶어 태어난게 아니니까요 .

  • illuminterk · 401338 · 12/03/02 22:18 · MS 2018

    감사합니다.^^

  • 슬픈연가 · 391528 · 12/03/02 21:24 · MS 2011

    전 왜 이 기사가 의미 없다고 느껴지는 걸까요... 오히려 이러한 현상을 맞추기 위해서 정책을 펴면 그게 또 못사는 사람은 아니고 중간 정도 사는 사람한테는 역차별로 이어집니다
    하나의 예로, 국가장학금 확대한다고 정부에서 광고해놓고 국가 이공계 장학금 수혜 인원은 절반으로 줄여버렸죠..(정시).. 복지 포퓰리즘...;;

  • 펭귄맛 · 389525 · 12/03/02 21:30 · MS 2011

    근데 정말 힘든 사람들 생각하면 그 '역차별'이라는 말은 엄살이라는...

    필요한 만큼의 배려도 해주지 못하고 있는데 포퓰리즘은 무슨.

  • Adalin · 389924 · 12/03/03 18:28 · MS 2011

    중간 정도 사는 사람에 대한 역차별 공감합니다...

    중간 정도 사는 사람들도 그 자리 서려고 엄청 고생했는데 솔직히 지금 추세는 그 고생이

    의미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죠. 발버둥쳐서 중산층 겨우 올라서나 했더니 막상 복지를

    감안하면 자신이 그렇게 탈출하고자 했던 빈곤층과 그다지 차이가 없는 그런 허탈한 시대가

    올 수도 있다고 봅니다. 상류(특권)층의 특성상 쉬운 탈(절)세까지 감안하면 복지비용을 중산층이

    대는 형세로 흘러갈 수도 있습니다. 상당수의 인서울 명문대학 졸업생들이 집안 배경을 고려

    하지 않을때 딱 중산층 정도의 위치에 설 가능성이 높지요.

  • 이해원(난만한) · 347173 · 12/03/02 21:49 · MS 2010

    우리학교에 잘사는 애들이 저렇게 많나 ㄷㄷ

  • Archesia · 389628 · 12/03/02 23:04 · MS 2011

    허허.. 내가 부모소득 상위10% 아닌 사람중에 한명이 되줘야겠다.

  • 기타치는베스 · 387102 · 12/03/04 21:24 · MS 2011

    포스텍이나 카이스트에 저렇게 부유층이 많다니..ㄷ

  • 투멤버 · 337988 · 12/03/09 01:05 · MS 2010

    난 65프로인가보넹

  • dhfbreh · 376731 · 12/03/20 10:00 · MS 2011

    유럽 선진국 몇몇 나라들처럼 교육은 국가가 책임지고
    모두 무상으로 하면 격차가 줄어들겠죠.
    돈이 없어서 똑똑한 아이들이 기회를 박탈당한다면 공정하지 못한거죠.
    개인이 잘 먹고 잘 사는 것은 자유이나 교육은 백년지대계로서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도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공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스케치북뿅 · 375511 · 12/03/29 19:45

    저런기사 뭐어쩌라고쓰는건지모르겟네요.... 그럼 소득계층비율별로 정해서 뽑아야하나ㅡㅡ부의대물림 물론나쁜거맞지만 잘하면가고못하면못가는거지 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