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esensN [946375]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1-01-24 21:43:18
조회수 3,121

[국어] 선지는 여러 문장으로 '분리'하기 (공통)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35585922

(242.6K) [177]

1906 최한기 [Praesens 기출].pdf

(1.4M) [182]

2019 6월 모의평가 국어.pdf

안녕하세요, 오르비에 가입하고 나서 처음으로 수능 국어와 관련된,


나름의 틀을 갖춘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수능 국어와 관련하여 어떤 글을 쓸지 고민을 하던 중, 제가 현역 때 가장 힘들었던


현장에서 선지를 어떻게 읽고 판단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나누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선지 정오 판단은 국어 문제를 풀 때 가장 중요한 역량입니다. 선지 판단을 빼면 사실 


수능 국어의 문제풀이에서 남는게 없으니까요ㅎㅎ




이번 글에서 제가 말씀드릴 부분은 크게 두 가지로,


1. 선지를 2-3개의 문장으로 분리하여 하나씩 정오를 판단한다


2. '널럴한' 선지와 '빡빡한' 선지를 구별하여 다르게 접근한다


입니다.





1. '선지 분리'


여러분은 선지를 어떻게 읽고 계신가요?


이미 많은 선생님들께서 설명해주신 내용이기에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 대부분이


잘 알고 계시겠지만, 제가 특목고에서 공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수험생활 당시 정시를


준비하던 대부분의 주변 친구들이 선지를 한 번에 읽고 정오를 뚝딱 판단하길래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아무런 표시 없이 눈으로만 읽고 '이거 아니야?'하는 친구도 


굉장히 많더군요... (대부분이 모의평가만 잘 보고 결국 수능에서 미끄러졌습니다)




선지는 새로운 정보가 아닙니다. 선지는 응시자를 평가하기 위한 문장이기에, 읽을 때부터


'이 선지는 내가 맞는지 틀리는지 판단하고 넘어가야 한다!'라는 생각을 가지셔야 합니다.



바로 사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데카르트와 최한기는 모두 인간의 사고 작용이 일어나는 곳은 두뇌라고 보았겠군."



 1. 데카르트는 인간의 사고 작용이 일어나는 곳을 두뇌라고 보았을까?

 

 2. 데카르트가 그렇게 봤다면, 최한기 역시 인간의 사고 작용이 일어나는 곳을

  

    두뇌라고 보았을까?






"신기는 대소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니, 한 몸에 퍼지는 신기가 있고 심장에서 운용하는 신기가 있다."


 1. 신기는 대소로 구분되어 있나?


 2. 구분되어 있다면, 한 몸에 퍼지는 신기가 있나?

 

 3. 한 몸에 퍼지는 신기가 있다면, 심장에서 운용하는 신기도 있을까?







"이익과 홉슨은 신체의 동작을 뇌가 주관한다는 것에서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1. 이익은 신체의 동작을 뇌가 주관한다고 보았나?


 2. 이익이 그렇게 봤다면, 홉슨 역시 신체의 동작을 뇌가 주관한다고 보았나?





느낌이 오시나요?


첫 번째 사례에서 '데카르트와 최한기는 이렇게 봤을까?'라는 사고 방식을 가진 채로


선지에 접근하게 되면 이미 머릿속에서 데카르트와 최한기가 한 번에 들어와 있기 때문에


훌륭한 독해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반드시 꼬일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에서 빨리 이 선지를 판단하고 다음 선지, 그리고 다음 문제, 그리고 다음 지문으로 


넘어가야 한다는 압박감이 계속 맴돌기 때문이죠.


시간도 부족하고, 현장이 주는 긴장감과 부담감으로 인해 마음도 조급한 상황에서 두 개 이상의


대상 혹은 개념, 즉 정보를 동시에 처리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선지를 반드시 2-3개의 문장으로 쪼개서, 하나씩 하나씩 판단하고 넘어가세요.


선지를 쪼개고 분리하는 시간보다, 어설프게 한 문장 통으로 쭉 읽은 다음 한 번에 판단하는 


시간이 훨씬 더 오래 걸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선지 분리의 핵심은 직접 선지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각인하는 것입니다. 과자 조각처럼


선지가 분리된 상태로 표시된 이상, 우리는 선지를 볼 때 분리된 상태로 자연스럽게 인식하게 


되어 쪼개진 마디마다 독립된 하나의 문장으로 읽기 때문입니다.



분리된 선지, 즉 2-3개의 문장을 하나씩 판단할 때, 1번째 문장 혹은 2번째 문장에서 이미 


지문 속 근거가 명확해 선지의 정오가 판단된다면, 한 문장 통으로 읽을 때 보다 오히려 문제 풀이


시간이 단축될 수 있지 않을까요? 설령 분리된 마지막 문장에서 그 선지가 정답 선지인지, 혹은


오답 선지인지 갈려도, 손해 볼 것은 없다는 뜻입니다. 수능 국어는 주어진 시간 내에 문제를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풀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공부해야지, 이익과 손해를 하나하나 계산하면서


매 번 지문, 문제, 선지에 따라 공부 방법을 함부로 평가하고 수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돌아와서, 그렇다고 해서 '에잇 선지 괜히 쪼개서 일일히


확인했네 어차피 마지막에서 갈릴 건데'라고 생각하지는 않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한 문장 그대로 


받아들여 선지를 판단하면 시간과 효율 모두에서 밀립니다. 오히려 그럴듯한 감으로 선지를 처리하게


됩니다.




쓰다보니 글이 길어졌네요. 


2. '널럴한' 선지와 '빡빡한' 선지를 구분하자.  이건 다음 글에서 다뤄야 할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 활동 경험도 없고, 초보인지라 섬세하지 못한 부분들이 분명 있을 겁니다. 


질문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