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에서 살아남기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57831950
경쟁에서 살아남기
수험생활을 하다보면 3월이고 지금이고 가을이고
항상 이런 생각이 문득 듭니다.
"내가 과연 잘 할 수 있을까?"
당장 오르비만 봐도, 아아 나 이제 지방대 가네 ㅋ 라면서 의대 인증 하시는 분들도 있고요 ㅎㅎ
학원이나 학교를 둘러보면 나보다 공부를 덜하는 것 같으면서 나보다 성적이 더 잘 나오는
얄미운 사람도 있습니다.
그리고 수험생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지금 이 시간에도 내 적장의 책장은 넘어간다.' 라는
문구는 내가 더욱 경쟁에 치열하게 임해야지만 살아남을 것만 같은 불안감을 야기시킵니다.
이렇게 차오르는 막연한 불안감과 조바심은 나의 멘탈을 쿠크다스로 만들어 버리죠.
성적이 올라가면 그렇게 뿌듯할 수 없습니다. 그러다 다시 성적이 떨어지면 그렇게 좌절할 수 없어요.
공부하다가 문득 내 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 난 이렇게 열심히 했는데, 쟤를 어떻게 따라잡나 하면서
좌절감이 듭니다.
왜 그럴까요?
그건 바로, 우월감과 열등감이 한 끗 차이라서 그렇습니다.
우월감과 열등감은 동시에 따라다니는 베프인것이죠.
여러분의 머릿속에 한 명쯤 완벽한 경쟁자를 담아두고 있을 수 있어요.
혹은 근처에 공부를 잘하는 친구가 있어서 비교를 할 수 있어요.
혹은 내 경쟁자들을 끊임없이 보면서 '쟤는 뭐로 공부하고 있나.' 하면서 염탐하면서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공부에 확신이 없을 수 있어요.
경쟁자의 공부양과 내 공부양을 비교하면 난 저 경쟁자를 도저히 이길 수 없을 것만 같은
느낌이 듭니다. 오늘 좀 덜 공부한 나를 자책하고 자책이 심해지면 포기부터 하려고 합니다.
혹은 '아! 내가 1년 더 공부하면!!!!!!' 이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스치고
지금 디데이에 +365일을 더 하면 내가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을 것만 같습니다.
이런 멘탈로는 경쟁에서 절대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365일을 더 하는 친구가 +730일을 더한다고
그 친구가 더 잘 하는 친구가 될까요? 글쎄요.
이런 멘탈의 친구들은 본인 스스로 본인을 가루로 만들어 버린 것과 다름 없어요.
이건 경쟁에서 진 것도 아니고 나 스스로 자멸해 버린 겁니다.
저는, 소설가 김훈님의 소설을 참 좋아합니다. 칼의 노래 라는 책은 5번 넘게 읽었던 것 같네요.
소설가 김훈 님의 칼의 노래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전쟁이 나자 산에 살던 사람들은 바다로 도망치고, 바다에 살던 사람은 산에 도망친다.'
당장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인간의 심리와 방향성을 잃은 채 옆 사람이 저기로 피난을 떠나니
나도 떠나면 안될 것 같은 그런 압박감을 느꼈겠지요.
이렇게 내 안의 중심이 없으면 휩싸이게 마련이고 미련한 일을 하는 인간으로 전락합니다.
내 안의 중심은 어떻게 세울 수 있을까요?
칼의 노래를 보면, 이순신 장군님이 명량해전에 12척으로 133척의 일본군을 몰살시켜 버립니다.
만약, 이순신 장군님이 본인의 중심을 세우지 않았다면 가능했을 까요?
만일 그 전장에서 이순신 장군님이
'와 ㅅㅂ 일본놈들 배가 엄청 많네. 나는 12척 쟤네는 133척인데, 내가 한 대당 12척을 뿌셔 버려야 한다고?
그게 말이 돼?' 라고 적을 곁눈질 하면서 스스로 자신의 한계를 가늠하고 계산하려 들어서 일본 배와 비교했으면
과연 그 전쟁에서 이기셨을 까요?
경쟁은, '압도적으로 부족해도 이길 수 있습니다.'
어떻게요? 나보다 공부를 더 많이 한 사람은 물론 수도 없이 많습니다.
수능 시험장에서 전국 1등을 할 만한 A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 A 역시 본인의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을 거라서 끊임없이 지치지도 않고
공부를 합니다.
(수능을 보기 전까진) A가 나보다 유리하고 내가 불리하다? 이건 맞는 말입니다.
나보다 더 많이 공부해왔을 테니까. 그리고 나보다 잘하니까.
하지만, A가 나보다 유리하니까 내가 진다? 이건 모르는 말입니다.
승부라는 건 명량해전을 봐도 알다시피 유불리 만으로 승패가 갈리는 게 아니거든요.
수능이라는 입시, 다른 어떤 입시라도 책을 오래 들여다보고
문제를 많이 푸는 게 공부의 8할이지 전부가 아닙니다.
시험을 잘 치루기 위해서 우선 내 마음을 잘 다스릴 줄 아는 것 역시 물론 중요합니다.
치명적인 실수나 판단을 하지 않고, 내 마음과 상황을 나 스스로 평가해 봅니다.
입시는 내신-중간/기말 과 다르게 호흡이 1년 단위기 때문에
그 지난한 과정들이 날 불안하게 만들어서 내 멘탈을 흔듭니다.
그리고 수많은 내 경쟁자를 물리쳐야 내 목표가 이뤄지는 거라고 생각하게끔 만들기도 하죠.
그래서 우리 유-불리의 관점만 가지고 승부를 가늠하면 난 절대 승산이 없습니다.
유불리로 내 승률을 계산하면 절대 내가 질 확률을 내 자신이 이길 수 없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시험의 점수는 정해져 있다. 그 필요한 점수를 내가 채운다.'
시험이 상대 평가든, 절대 평가든 내가 받는 시험지는 하나예요.
내가 지금 성적을 60점이라고 생각한다면 나머지 40을 어떻게 더 채우지?
라는 생각만 합시다.
남들이 뭘 하건 간에 내가 부족한 부분을 찾아서 40을 채운다면,
내 목표는 달성 되는 거라 생각합시다.
40을 채우려는 마음은 나의 최강을 발휘하고자 하는 마음이 될 것이고,
그건 절대 경쟁자를 쳐다보며 날 채찍질 한다고 채울 수 없습니다.
오로지 나 자신을 내가 스스로 바라봤을 때 가능한 것이죠.
공부하면서 옆을 보지 말아요.
위를 보지도 말고, 아래도 보지 말아요.
경쟁에서 진정으로 이기려면 내 자신을 내 스스로 보는 작업이 필요해요.
흔히 공부법 멘토 혹은 상담이라고 혹은 학교 선생님들이 주위에 경쟁자를 두고
열심히 자극 받아서 공부해야 해! 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전 단언할 수 있어요.
경쟁자를 의식하는 마음이 공부의 동기가 되어 성공할 확률은 지극히 낮습니다.
일반인의 멘탈은 경쟁자를 의식하면서 공부하다간 경쟁자보다 먼저 멘탈이 가루가 되어 버리기 쉬우니까요.
사람이 옆을 보거나, 위를 보거나, 아래를 볼 때 열등감과 우월감을 겪습니다.
우월감은 열등감을 불러오고 결국 나 스스로 나 자신을 깊은 수렁에 빠뜨립니다.
나의 최강 나만의 100점을 발휘 하는 것은
옆을 봐서도 위를 봐서도 아래를 봐서도 결정되지 않아요.
오로지 내 자신을 바라 봤을 때 결정되는 것이죠.
내 상황은 내가 결정합니다.
경쟁자를 물리치자! 라는 마음을 가지면 내가 할 수 있는 활동이 좁아져 버려요.
그럼 내가 무력해지죠.
대신에 난 오늘부터 최강이 되자! 라는 마음을 가지면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져요.
내 자신이 능동적이게 되죠.
나의 최강을 발휘하는 건 결국 나 자신에게 달려있습니다.
옆/위/아래 로 가는 시선을 거두고 내 자신을 바라보고 문제점을 적어봅시다.
국어는 뭐가 문제고, 수학은 뭐가 문제고, 영어는 어떤 게 힘들고, 탐구는 어떤 게 힘들고.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내가 적은 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수능 공부는 공장 제품이 아니라 각자 자신들이 만드는 hand-made 니깐요!
나를 능동적인 사람으로 바꿔봅시다.
내 주변의 모든 사람들이 전쟁이 나서 바다로 피난간다고 해도
나 스스로 냉철하게 분석해서 내 문제점은 무엇인지 파악합시다.
경쟁자들로부터 미리부터 패배하지 맙시다.
시험 점수는 정해져 있고,
승부는 압도적으로 부족해도 이길 수 있습니다.
-김지석
강력한 멘탈 기르기! 비법!
1.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지 말기.
2. 경쟁은 압도적으로 부족해도 이길 수 있다는 마음을 가지기.
3. 잘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면
'내가 부족한 부분이 이 것 들이니까 이 것들을 채우면 잘 할 수 있을 거야.' 라는 말을 할 수 있게
본인의 약점이 무엇들인지 냉철하게 판단하기
4. 시험 만점은 정해져 있다. 내 상황을 내가 결정하고 내 자신의 최고의 대박 만을 바라보고 나아가자.
------
최상의 공부법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수학 극복하기
▼
▼
▼
▼
여름방학 짧고 컴팩트하게! 딱!
문제를 풀다가 매번 막힌다면? 밑빠진 독을 빠르게 수리해 보자! (7일완성)
하루 3시간 * 7일 완성
수능 전범위 수학 기본개념+실전개념 단권화! (독학 가능 + 강의 개념서 가능)
*이 시기에 함께 하면 좋을 '수능 분석+기출 총정리 강의'
올해 수능 트렌드 예측 + 과목별 문제스킬 총정리
과목별 하루 3시간 * 6일 완성 (*수1은 5일완성!)
Data-analysis 를 곁들인 'Big data' 수능기출분석 강의 (*전문항 해설및 수능 전문항 자료워크북 제공)
----------------------
좋아요와 팔로잉은 사랑 ♥
더운여름 메로나를 먹으면 좋을까요? 아아를 먹으면 좋을까요?
뭐가 되었든 조만간 같이 먹어보아요! (팔로워 한정)
미리미리 팔로잉 해두자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집중해서 봐야 티 나는 정도긴 한데 신기하네
-
우와 저번주 과제를 7주차 하루전에 받았어요 22 30도배되있지만 하루만에 끝내고...
-
과학 지문이 너무 어렵다 ㅜ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지문 풀어봒는데 이해가 안 돼 ㅜㅜㅜㅜ
-
학교다닐 때 인기가 많진 않았음. (친구가 ㄹㅈㄷ)
-
사실 저도 2
빼빼로 못 받아봄요 포키만 받음
-
설대 붙은 애들 보니까 관악가서 술마시던데 무슨 10반 11반 해서
-
가슴이 쑤신다
-
애초에 다른 알바랑 다르게 과외하고 끝이 아니잖음 준비도 해야되고 ... 그런거...
-
물론 떨어졌으니까 기만은 아니긴 함 집이 개부잔데 탈세존나해서 저소득층ㄱㅣ균?으로...
-
나밖에 없을듯 ㅋㅋㅋㅋㅋㅋ
-
ㅋㅋㅋㅋㅋㅋ 어케 ㅠㅠ
-
dbpia 들어가서 고시계에 오른 고시합격자 수기 보면 은근히 재밌는 부분도 있고 반성하게 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2
솔직히 저는 학부생 1학년 시절에 고시계 알았으면 고시 준비했었을 지도...
-
예비번호 0
200명 넘게뽑는 자전 대형과 셈퍼에서는 예비 50정도로 예측하던데 갑자기 막...
-
씻기전 맞팔구 2
40명 찍으면 씻으러감 이제 물리 안해서 물리력 떨어져도됨
-
솔직히 ㅇㅇ..
-
여사친이 줫음 고2때 갈궈서 미안하다며
-
설공 붙여주면 ㄹㅇ 교수님 랩실의 노예로 평생 살 수 있음... 내년에 설공가면...
-
1 : 국어 올리면 의대, 못올리면 연공 2 : 국어 올리면 설치, 부산의,...
-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벌받아야합니다
-
볼 게 많아진다
-
안그리우면 댓ㄱㄱ
-
최적 큐뱅크 1
메가스터디 들어가도 큐뱅크 블랙라벨밖에 안팔던데 큐뱅크는 어디서 사나요?
-
ㄷㄷ 난 사범 동생은 어문 지거국이긴함
-
찐따의 장점 x 5
아싸의 장점 o 찐따와 아싸는 다르다
-
30점대나오고 그랬어
-
대체 뭘 깨달으신 겁니까..알려주실 고수분?
-
속보 5
입니다
-
나오는거 가능할까요? 진짜 가끔 보이던데 60점대에서 수능 1등급
-
밑에 글 있길래 가져와봄
-
올해도 정신 못차리고 화학할예정 ㅋㅋㅋㅋㅋㅋ 다맞으면 그만이야 ㅋㅋㅋ 만백 95면? 삼수딱대
-
주말에 약속 있는데..
-
전화공포증이라 항상 떨리고 기가 너무 빨림 성적 오르긴했는데 ...
-
새터 오티 날짜 공유해주실 수 있나요!! 예비번호 받았는데 전화추합노려야 할 것...
-
뮌가가 뒤죽박죽
-
그리고 베댓........ ㅠ...
-
자습실에서 옆머리 고정하려고 핑크색 리본 모양 찍찍이 머리에 달고 공부하다가 급식...
-
ㄹㅇ 루시드가 처음인듯 원래는 미드, 서폿방송만 보는게 디폴트인데
-
메타가 이상해 4
이상하면 치과로.
-
옵붕이들 잘자 13
엉아 오늘은 일찍 잘게
-
찐따의 장점 10
돈 아껴서 주식가능
-
찐따의 장점 3
그런 게 있을 리가 있노?
-
작년 초에 교육청 문제들을 갈래별로 편집해 봤는데 수요가 꽤 있어서 올해는 좀 더...
-
현역 사탐런 5
25학년도 6,9,수능 물1 화1 둘다 집에서 풀었을 때 시간 남으면서 1등급...
-
찐따의 장점 0
그런건 없다
-
합격여부에 “불합격”이라고만 써있으면 예비도 없이 불합격이라는 뜻인가요? 아니면...
-
텝스 결론 5
2월 9일에 응시 안하면 1학기에 영어수강신청 불가 개인적으로 응시하고 나중에 들으먼 댐
-
찐따의 장점 2
...
-
홍대 자취 0
최근 3개년기준 6~80번대까지 추합도는 학과인데 오늘 50번대 예비받고 긱사는...
-
물1 비역학 퍼즐 싫어서 물2까지 간사람인데 과탐 수능1 받은 능지면 할만할까요?...
선생님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와..
굳굳
시험 만점은 정해져 있단말이 크게 와닿습니다 오르비끄고 공부하러가겠습니다ㅠㅠ
항상 힘이되는 글 감사합니다
더 이상 수험생은 아니지만 정말 좋은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마음속에 새겨넣겠습니다
좋은 글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