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1편 복습 For 팔로워 (12/13)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60364271
칼럼 1편 읽으신 팔로워분들에게 칼럼 내용을 다시한번 복습&암기시켜드리기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약간의 가공을 거쳐 조금 긁어왔습니다.
공부방법에 대한 복습이라기보다는, 예시로서 설명했던 '원칙'에 대한 복습입니다!
공부방법에 관한 내용을 복습하고 싶으시면 그냥 칼럼 전체를 다시 읽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칼럼 링크 : https://orbi.kr/00060241047)
'대비'를 주제로 한 다음 칼럼은 이번주 중으로 올라갈 것 같으니 올라오면 꼭 읽어보시길 바래요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드는 생각들을 댓글의 해설과 비교해보세요!
혹시 본인이 잡아내지 못한 포인트 or 사고과정이 있다면, 철저하게 암기하고 주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문장을 보면 대상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다
(1) 이러한 트리핀 딜레마는 국제 유동성 확보와 달러화의 신뢰도 간의 문제이다. 국제 유동성이란 국제적으로 보편적인 통용력을 갖는 지불 수단을 말하는데, 금 본위 체제에서는 금이 국제 유동성의 역할을 했으며, 각 국가의 통화 가치는 정해전 양의 금의 가치에 고정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 간 통화의 교환 비율인 환율은 자동적으로 결정되었다. 이후 브레턴우즈 체제에서는 국제 유동성으로 달러화가 추가되어 ‘금 환 본위제’가 되었다.
(2) 사람은 살아가는 동안 여러 약속을 한다. 계약도 하나의 약속이다. 하지만 이것은 친구와 뜻이 맞아 주말에 영화 보러 가자는 약속과는 다르다. 일반적인 다른 약속처럼 계약도 서로의 의사 표시가 합치하여 성립하지만, 이때의 의사는 일정한 법률 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중략)
이처럼 의사 표시를 필수적 요소로 하여 법률 효과를 발생시키는 행위들을 법률 행위라 한다. 계약은 법률 행위의 일종으로서, 당사자에게 일정한 청구권과 이행 의무를 발생시킨다. 청구권을 내용으로 하는 권리가 채권이고, 그에 따라 이행을 해야 할 의무가 채무이다. 따라서 채권과 채무는 발생한 법률 효과가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다른 방향에서 파악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채무자가 채무의 내용대로 이행하여 채권을 소멸시키는 것을 변제라 한다.
(1)
'트리핀 딜레마'라는 누가봐도 핵심적인 대상을 제시하고, 그 대상에 대한 설명이 나오고 있고, 설명 중 등장한 '국제 유동성'에 대한 설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설명하려는 핵심적인 대상은 '트리핀 딜레마'로 파악되기 때문에 국제유동성에 대한 설명을 반드시 트리핀 딜레마의 설명과 연결지어서 '트리핀 딜레마'라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려는 태도가 중요하고, '국제 유동성 확보'라는 내용을 '트리핀 딜레마'라는 대상에 대한 간결한 설명을 위해 '금과 달러화의 확보'로 생각해주면서
"트리핀 딜레마는 '금과 달러화의 확보'와 '달러화의 신뢰도' 사이의 딜레마를 말하는 것이군." 까지의 생각을 당연하게 할 수 있어야합니다.
"그럼 달러화를 확보하면 신뢰도가 무너지고, 신뢰도가 무너지지 않게 하면 달러화를 확보하지 못한다는 뜻이군" 라고 지문 너머의 생각까지 이어갈 수 있으면 Best일 듯합니다.
(2)
약속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 이어서 '계약'이라는 대상으로 범위를 좁혀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계약'이라는 핵심 대상에 대한 정보 파악을 최우선으로 해야합니다. 계약은 의사 표시가 합치하여 성립하고, 이 때의 의사가 '법률 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꼭 잡아둬야해요.
다음 문장에서 계속해서 계약에 대한 설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계약이 '법률행위'임을 파악하자마자, 법률행위에 대한 정보를 '계약'이라는 대상을 중심으로 파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야합니다.
이를 위해 법률 행위는 법률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계약은 채권과 채무를 발생시킨다는 걸 파악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마치고 나면 채권과 채무가 법률 효과라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f(x)=g(x)/x-a 를 h(x)/x-a + M 으로 놓고 엄청 쉽게 풀던데...
-
메인글 보니까 갑자기 생각나서 말함 전여친은 서울대생이었음. 본인은 아는 서울대생이...
-
사탐 뭐가낫나요 1
사문 세지 한지 중 두개 하고싶은데 세지한지가 재밌어보이는데 고였다는 말이 많고...
-
임티로만 대화하기 15
도전자를 구합니다 ㄱㄱ혓
-
오르비라 읽는거 아니냐
-
왤케 다들 시대가라고 하지..
-
가격싸고 양많음
-
시발점 0
형님들 스탭 2는 처음부터 잘하기 어렵죠? 어려운 문제는 개념을 아무리 봐도...
-
한녀식 통매음 고소할게요
-
안녕하세요 인서울 하위권 4년제 다니다 휴학하고 작년 9월에 입대해서 군생활중인...
-
ㅈㄱㄴ
-
ㄹㅇ
-
근데.. 3
.
-
공군 준비하는 과정은 대략 어느 정도로 힘들었음? 공군 준비하는거랑 비슷한 난이도의...
-
재밌네
-
이신혁T 라이브 0
1,2회차 안듣고 3회차부터 들어도 될까요?
-
대형학원 다닙니다. 거기서 수1수2 특강 하면서 킬러 문제 풀이 하긴 하는데...
-
맛만 좋으면 그만 아님?
-
ㅈㄱㄴ
-
뭔 메타 10
콘
-
ㅅㅂ 아르세우스 만나기 ㅈㄴ 힘드네 어제부터 밤새서 도감작하는데 하
-
상상 리마스터링 2회 ㄱ
-
고3은 앉아서 공부만 ㅈㄴ 열심히 하면 끝인데 군대는 그냥 뭐....18~21개월을...
-
올오카 순서 0
오리진 다 듣고 올오카 들으려는데 독서부터 들으면 되요건가요? 아니면 독서 문학...
-
누구 또 싸움? 0
왜 싸움??
-
죄송합니다ㅜ 고2 수학 모고 낮3이고 지금 현우진 개정 전 시발점으로 수1 삼각함수...
-
원래 독서실or학원이였어서 많이 못 봤는데 수능은 빠르게 털고 나오는게 맞아..
-
응ㅇ애 7
혐애가하고싶다
-
진학사 관련으로 저격받았을 때 슬펏어
-
어떻게 새해 되자마자 또 이러냐? 앞으로 옵챗 파서 당사자끼리 거기서 싸우자
-
점공계산기 돌려보고싶은디 기억이 안남ㅅㅂ
-
디씨? 2
...그럼 우린 적이네?
-
병슼 1
누군진 안말했드
-
오르비 안할땐 프로세카 한섭갤 본섭갤 했음
-
감입니다.
-
주간지랑 파이널 커리가 따로 없는거 같은데 주간지는 매월승리? 이거 하고 파이널은...
-
많긴 한거같음 그래도 예전보단 덜해진듯 예전엔 신상유포는 기본이고 성희롱까지 다...
-
올수5점인데
-
공부잘하고 성격좋고 인기많고
-
어제자 달 3
-
군수 끝나고 처음 바다 보는데 좋더라
-
애들이 맨날 저보고 삐리(?)하대요 오르비 보다보면 나보다 공부잘하는사람도 널렸고.. ㅠ
-
예비고3 고2 모고 2 떳어요 국어 인강 듣는 것을 별로 선호하지 않는 편이라......
-
스이vs아카네 일단 전 스이,
항상 감사합니다
혹시 문학칼럼도 써주시나요
넹 문학 칼럼도 준비 중입니다! 근데 당분간은 독서 위주로 올라갈 것 같아요
정말 감사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