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원서 영역 방향성 잡기 - 하방과 원서 조합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65911097
안녕하세요. 피오르 컨설팅의 메디컬 팀장인 종냥입니다.
글을 시작하기 전에, 이 글의 제목의 의미를 짚어볼게요.
정시 원서를 잘 쓴다는 건 무슨 의미일까요?
어차피 본인의 점수는 정해져있고, 원서를 쓴다고 해서 본인의 점수나 지원하는 학교의 반영비를 바꿀 수는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원서를 잘 쓴다는 거 자체가 스나이핑에 성공하는 게 아닌 이상 허상이 아닐까요?
컨설턴트들도 컨설팅이 상향 원서의 합격을 보장하지는 않는다고 말하는데, 그러면 컨설팅을 받을 이유도 없는 게 아닌가요?
이런 이야기를 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인터넷에서는 비슷한 맥락으로 공격적으로 말씀하시는 분들도 인터넷에 많은 것 같아요.
저는 인터넷에서 오가는 글들에 대해 무심한 편이라 별로 신경도 쓰지 않고 설전을 벌이고 싶지도 않지만,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원서를 어떻게 접근하냐?에 대해서 알려드리고 싶어요.
밑에서 설명할 이 내용이 컨설팅에서 어떤 방식으로 원서를 접근을 하는가에 대해 설명이 될 거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실제로 원서를 쓸데도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해요.
1. 확실하고 가치 있는 하방을 잡아라.
컨설팅을 받는 목적이자 수능 원서를 쓸 때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건 확실한 하방입니다.
전적대 이상으로 합격해야 의미가 있는 반수생, 특정과 외에는 합격해도 등록 의사가 없는 확고한 수험생 등의 케이스를 제외하면 일반적인 수험생들의 고려 대상 1순위라고 생각합니다.
저희도 따로 사전조사 설문지에서 언급하지 않으면, 1순위 조합은 하방에 초점을 맞춰 원서 조합을 고려합니다.
컨설팅으로 인한 원서 성공에 대해 주로 생각하는 건 자극적인 스나의 성공, 전화 찬스 합격 등의 이미지가 강하고, 이런 걸 기대하러 오시는 분이 많지만 사실 원서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건 스나 카드보다 하방입니다.
하방을 잡을 때 하방 카드를 오히려 상향 카드보다 더 신경을 써야 원서 영역이 끝나고 결과에 만족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안정적이게 원서를 넣는다고 그곳 칸수 기준 넉넉한 6칸 이상에 최상위권의 등수로 합격하는 걸 좋은 하방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같은 하방 라인이라 해도, 철저한 분석이 있으면 조금 더 카드를 잘 쓸 수 있습니다.
저는 상담을 진행하며 한 번도 하방이라고 언급한 학교가 불합격한 사례가 없고, 그러면서도 그곳 기준 5칸 등의 겉에서 보기에는 걱정이 될 수 있는 학교도 하방이라고 자주 언급했습니다.
작년의 입시에서 군별로 하나씩 예시로 들면, 가군에서 건국대 수의대 5칸, 나군에서 전남대 약대/수의대 5칸, 다군 상지대 한의대 5칸을 하방으로 불러드렸던 기억이 나네요.
(실제로 제가 직접 기록 한 상담기록에도 있고, 작년에 상담하신 분의 말씀도 아직 기억에 나네요.
“이렇게 쓰면 5칸을 하방으로 깔고 상향을 두개 쓰는건데.. 괜찮을까요?” “네, 최초합 하실겁니다.” 결과는 당연히 최초합이었습니다.)
물론 하방으로 잡았던 다른 학교들도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합격이었고요.
해당 학교의 표본만 보는 게 아닌, 주위 학교의 흐름과 반영비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표본의 이동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있으면 보기에는 불안해 보이는 학교도 하방이라고 잡고 원서를 쓸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좋은 상향 카드만 생각하지 말고, 입학하게 될 가능성이 더 높은 하방의 학교에 대해서 최우선적으로 시간을 써서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아무리 좋은 상향 카드를 쓰더라도 그 학교에 아슬아슬한 예비번호로 떨어지고, 무작정 든든한 하방으로 잡은 학교에 전체 수석으로 합격하면 그 해에 미련이 많이 남을 겁니다.
2. 하방을 의미 없이 두개씩이나 쓰지 마라.
상담을 진행하며 학생분이 준비해온 원서를 보면 두 학교에 매우 안정적인 지원을 생각해오실 때가 잦은 빈도로 있습니다.
이유를 물어보면, 그냥 불안해서라고 합니다.
원서 영역이 처음이면 불안할 수는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분석을 제대로 했으면 안정적이라고 생각한 학교가 정원이 극도로 적은 소수과가 아닌 이상 자신의 분석이 맞을 거라고 확신하고 원서를 써야 합니다.
걱정된다고 다른 학교도 매우 안정권으로 넣는 순간 원래의 하방은 하방이 아닌 게 됩니다.
이게 처음 정시를 준비하는 수험생 입장에서 접수할 때에는 심리적 안정감을 받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수험생분들이 결과 발표 후 안정적으로 합격한 두 개의 학교를 보며 후회합니다.
그러지 말고 본인의 지원에 확신을 가지세요.
합격 확률은 합연산이 아니며 칸수가 646 663이라고 좋은 원서이고 624라고 안 좋은 원서가 아닙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후자가 더 결과가 나왔을 때 웃을 확률이 높은 원서라 생각합니다.
3. 상향 카드는 칸수에 연연해하지 말 것.
사람 심리라는 게 참 웃긴 게, 상향 지원은 변수가 있어야 하고 위험요소가 많을수록 본인에게 더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걸 알면서도 정작 보이는 등수와 칸수에 집착하며 망설입니다.
저희가 상향 카드를 추천할 때 자세히 추천하는 이유를 설명해 드려도 기존에 가지고 있던 그 학교의 프레이밍에 갇혀 지원을 망설이십니다.
확실한 건, 하방을 깔고 과감하게 스나를 하는 상황에서는 스나 카드는 과감하게 쓰라고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단순히 점수 차이가 조금 덜 나는 학교가 솔깃하더라도, 논리적으로 그 학교가 반영비상으로 빠질 가능성도 적고 그 학교의 꼬리권이 비슷한 이유로 떨어지는 걸 각오하고 쓸 거라고 판단이 되면 빠지셔야 합니다.
반대로 점수 차이가 많이 나더라도 그 학교의 꼬리 라인이 실제로 지원할 확률이 낮다고 판단되면 과감하게 지원하셔야 합니다.
분석하는 방법과 자세한 설명은 이 글에 다 적기에는 너무 길어질 것 같고, 다른 저희 컨설턴트들이 분석법에 대해 칼럼을 많이 써 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원서 영역에서 원서를 쓸 때 기준이 되는 가이드라인 세 가지를 알려드렸습니다.
추가로 이 이야기는 일반과보다는 반영비가 다양한 메디컬에서 더 적합한 이야기인 점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일반과는 학교 내에서 반영비가 모두 같으며 순수 점수로 눈치싸움을 하다 보니 하방을 잡기가 쉽지 않으며, 비슷한 반영비의 학교들 사이에서 변수를 찾아 학교의 급간을 올리기도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중경외시의 상향 카드를 찾다가 변수가 많다고 연고대 상위권의 특정과를 스나이핑 하는 건 무리가 있겠죠.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아무래도 제가 글의 초점에서 멀어지지 않기 위해 세부적인 분석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자세히 하지 않았는데저의 이전 글과 저희 다른 컨설턴트들의 칼럼들에 관련 내용이 잘 설명되어 있으니 그것들도 읽으셔서 원서를 쓰는 데 도움이 많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며 이 글을 읽는 수험생분들 및 학부모분들 모두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피오르컨설팅 대기신청 안내 글 : https://orbi.kr/00065759437
[입시에 도움이 되는 글 모음]
https://orbi.kr/00065216335 : 유인우 - [입결표] 20~23학년도 메디컬,문이과 주요대학 추정 입결표
https://orbi.kr/00065221190 : 유인우 - 24학년도 정시 주안점
https://orbi.kr/00065232324 : 군툰문 - 불수능과 표본분석
https://orbi.kr/00065580165 : 군툰문 - 어디서 펑크가 날 것인가?
https://orbi.kr/00065277552 : Cogito - 표준점수, 누적백분위, 펑크, 폭발
https://orbi.kr/00065300256 : Cogito - 표본의 이동방향, 대체학과, 기피학과
https://orbi.kr/00065465648 : Cogito -컷 하락의 양상
https://orbi.kr/00065251112 : 정시기다리는 - 변환표준점수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5410392 : 종냥 - 2024학년도 메디컬계열 정시 지역인재 칼럼
https://orbi.kr/00064084053 : 종냥 - 메디컬 입시요강을 볼 때 확인할 4가지 포인트
https://orbi.kr/00065458030 : 종냥 - 모의지원에서의 허수 이야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설사범 뭐 내신이 BB인게 잘못이야 아니면 내가 면접을 못한거야 이유가 뭐야 시1발...
-
설마 이걸 몰라서 뉴런을 듣진 않을거 같애
-
경희의vs한양의 0
넷상에서는 둘 다 완전 비슷비슷하다고 하는데 또 주위 사람들은 무조건 경희의가 더...
-
텝스 질문 0
청해 부분 대화 질문 문제 선지까지 다 듣기로만 주는거로 아는데 메모지 같은게...
-
부담스럽다하면 바꿔주시나요?? 좀 일찍가는데 걸리면 조질거같은데
-
과외에서 국어 문법 가르칠 때 학년별 차이점이라면... 0
어차피 중3이나 고3이나 배우는 문법 개념은 똑같음 근데 차이점이 있다면 의존명사...
-
ㅇㅂㄱ 2
-
2026 인서울 의과대학은 물변표인가요 불변표인가요? 0
변표에 대한 개념이 전혀 없는데, 25수능 정시전형까지는 서성한이 대표적으로...
-
저는 이번에 서강대 경제학과와 성대 글로벌융합을 지원하고 추합을 기다리고 있는...
-
시대 vs강하 0
목동 강하 장학 받으면서 시즌0하고있는데 시대붙었는데 시대가는게 나은가요? 강하에서...
-
ㅈㄱㄴ
-
시간아 빨리가줘
-
96 96 1 98 96인데 CC이면 설인문이나 가장 낮은곳 되는학과ㅠ있을까요?...
-
언매 인강 추천 1
언매 유베이스 기준 언매GOAT 강의가 뭐임?(시대,두각 포함) 언매올인원,...
-
버스 놓 0
Chill 뻔...
-
얼?버기 2
글 리젠 속도 와이러노 암튼 기상 성공
-
드디어..!
-
참 슬퍼
-
기차지나간당 9
부지런행
-
얼부기온앤온 6
-
ㅇㅂㄱ 4
하이룽
-
특정안당할려고 이악물고 대학 이름 말안했는데 결국 당했네 난 순수한 사람이야 。◕‿◕。
-
믿습니다 티웨이 0
눈보라 때문에 비행기 안뜰까 걱정하고 있었는데 이걸 보내주네 ㅋㅋㅋㅋㅋㅋ
-
얼버기 3
응..
-
기차지나간당 4
부지런행
-
만약 과제로 수특 변형문항이 제공되었을때, 어느정도 난이도와 변형정도를 원하시나요?...
-
알바 문의 문자로 했는데 한달만에 답장이 왔네용 근데 제가 알바 꼭 해야 하긴...
-
얼버기 1
안녕하세요
-
도로에서 잠자는 것 같아요
-
겁나 mz한 발암캐가 생겨서 하차했어요 중독수준으로 보고 있었는데 이건 좋은건가..
-
가난이 군대같이 오리라
-
진로고민만 하다가 일단 공부 시작하니까 행복해요 근데 이제 시간이 잘 시간이ㅡ아니라...
-
대전 근교 살아서 대전에서 재수해야됨 기숙은 작년에 윈터썸머 갔다왔는데 정신병만...
-
방금닦은곳 다시 발자국생김ㅋㅋㅋㅋㅋㅋ ㅌㅋㅋㅋㅋㅋ
-
큐브에서 수시,정시 관련 상담 해주실 선생님 계실까요..?ㅠㅠ혼자 공부하는데...
-
자자 0
-
기균 나군 2명 뽑음 (얼마전에 올렸는데 데이터 추가해서 다시 조사합니다 불안하기도...
-
외롭기 때문에 공부해야하고 대학교 가면 다 좋아질까 동아리 활동이던 과 생활이던 다...
-
지방수 갈 수도 있을거 같아서 기숙사 드가기 전에 미리 사려는데 어떤게 좋을까용.?...
-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
국숭세단 위로 건대 동국대 빼고 없는 거 맞나요??
-
김기현 아이디어 0
현역 이과 고3이고 수학 2-3 정도 뜨면 좋겠는데 내신이 확통이고 다른 것도...
-
봇이지뭐 4
즐기지뭐
-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듬 나는 아침 일찍 일어나는것도 어렵던데...
-
진짜 자러감 3
-
아몰라사문시작!
-
여기에서 + 표시 눌렀더니 이렇게 뜨기만 하는데 원래 본인 학교 강의들 다 뜨지...
-
조만간 이 생활도 그리워지겟지
-
서버나아졋나? 0
인원다빠져서정상화된거처럼보이는건가
-
왜 여기서..? 하는거임..?
선생님 윗 글이 농어촌정시에서는 거의 관련없는 얘기라고봐도 되나요?
학교마다 다른데 농어촌에 표본 거의 안잡히는 학교는 약간 글과는 거리가 있긴 하겠네요.
너무 좋은 글이 많네요~ 도움 많이 받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