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생각없는 리어r [1207931] · MS 2023 · 쪽지

2024-06-27 16:03:41
조회수 85

탐구방법과 생물의 특성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68552662

귀납적 방법 : 관찰결과 얻은 사실들로부터 일반적인 원리와 법칙 유도

                  실험이 어려운주제를 탐구하는 방법이고 

                   주제 설정 -> 관찰방법 고안 -> 수행-> 해석 결론도출 -> 일반화



연역적 방법 : 대전제 를 세우고 실험을 통해 검증 결론 도출

1.탐구과정 


문제 인식 -> 가설 설정 -> 탐구설계 및 수행 => 자료해석 ->맞으면 결론 도출 -> 일반화

틀리면 다시 가설설정



탐구설계 빛 수행


대조실험에 대조군과 실험군이 있으며 실험군이 조작한 것 대조군은 원본


변인은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있는데 독립변인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요소 종속변인은 그로 인한 결과


독립변인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정하는 모든것

그 속에  조작변인과 통제변인이 있는데 통제변인이 자연스러운 변인 조작변인은 의도적으로 바꿔준 변인(추정변인)



가설과 결론에서 결국 가설은 조작변인과 종속변인의 합을 말한다.





생물의 특성


세포로 구성

물질대사가능

반응과 항상어

발생과 생장

생식과 유전

적응과 진화




모든 생물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물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단위 이다.

생물의 유기적 구성 : 세포->조직->기관> 개체


물질대사란 외부로부터 받아들여 일으키는 모든 체내 화학반응과 에너지 대사를 말한다. 이는 '모든 화학반응" 이므로

모든 물질대사는 효소의 촉매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동화작용과 이화작용이 대표적인데 동화작용은 뭉쳐서 큰 물질로 이화작용은 분해해서 작은 물질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면 atp가 adp로 변하는 것도 물질대사라 해야하나? 이화작용 이잖아? 그럼 맞는 것 같은데 효소가 있나?


효소는 단백질이다.


반응 : 자극에대한 방응

항상성 : 주변 환경에 적절히 반응하여 체내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 열당량 0.1% 체온 36.5 삼투압 0.85


식물 반응의 예 : 미모사의 잎 식물을 굴광성



발생과 생장


발생 : 수정란이 세포분열과 분화를 통해 완전한 새체를 형성하는 것. 분화를 말함.

생장 : 어린 개체가 세포분열을 통한 세포수 증가로 성숙한개체로 자라나는 것을 말함. = 세포수를 증가시킬뿐 기능이 달라지지 않는다.



적응과 진화


적응 : 오랜시간에 걸처 환경에 맞춰 몸의 구조 기능 행동등을 변화시키는 것


진화 : 세대를 거듭하는 긴 시간동안 환경에 대한 적응이 축정되어 유전적 구성이 변하는 것. 진화으 ㅣ결과


생식과 유전 


생식 ㅣ 수명이 유한하므로 죽기전에 자손을 남긴다.

유전 : 유전자에 의해 자식은 어버이 형질을 물려받는다.


어떻게 생각하면 유전자가 꼭 벌레처럼 생겼는데 유전자만이 생명체일지도 몰라 대를 내려가도 끊키지 않으면 사라지지않으니까 번데기가 나비로 변할때 몸이 완전히 녹았다가 다시 만들어지는데 유전자는 변하지 않잖아.


그러니 결국 사람이란 것 은 46개의 염색체란 벌레가 합쳐서서 만들어진 것 아닐까? 라는 상상해봄.




바이킹호의 화성실험.


그냥 동화작용을 하는지 이화작용을 하는지 판단하는 것인데 생물은 물질대사를 한다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짐


이화작용의 경우 c에 방사능을 띄는 양분을 줘서 그걸로 물질대사후 이산화탄소를 ㅓ방출하는지


동화작용의 경우 이산화탄소를 넣어줘서 물질대사를 하게 한 후 태워서 나오는지


유기양분을 넣어서 공기의 조성이 바뀌는지로 판단함



바이러스의 특성 =>나중에 방어작용


1. 생물과 비생물의 중간형, 독립생활이 불가능하며 숙주 생물에 기생, 


2.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직 +핵산

 비ㅓ세포구조다

 세균보다 크기가 작다. 이를 이용해 세균여과기를 통과한다.



3. 이중적 특성

  1. 비생물적 특성

   - 비세포구조 : 단백질과 핵산의 결정체로 존재, 

   -스스로 물질대사 불가


  2. 생물적 특성 

    -자기증식 : 자신의 핵산으로 증식이 가능

    -적응 진화 :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돌연변이 발생


바이러스의 구분


 핵산에 따른 구분  : dna바이러스 박테리오파지(우주선 같음) rna바이러스(tmv)

 숙주에 따른 구분 : 동물성 바이러스(hiv) 식물성 바이러스 (tmv)


 결국 식물성 바이러스가 rna 바이러스가른ㄴ 말인 것 같음


그리고 세균석 바이러스가 ㅓ박테리오파지.


 동물성 바이러스는 그럼 rna야 dna야? 


참고로 바이러스는 세포구조가 아니므로 세포분열을 하지 않는다 그러니 유전물질을 숙주생물에서 복사해서 하는 것이니 잘 구분해야한다.


아 인간을 괴롭히는 것은 보통 rna바이러스다


끝.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