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생각없는 리어r [1207931] · MS 2023 · 쪽지

2024-06-27 17:42:29
조회수 57

생명활동과 에너지.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68553114

물질대사

-물질대사가 일어날때 반드시 에너지 출입이 따른다(물리에 빛의 입자성 관련해서 이해하면좋음)

- 주로 세포에서 일어나고 

- 반드시 효소에 의해 반응이 촉진된다.

- 물질대사에는 동화작용과 이화작용이 있고


동화작용의 대포젹인 것 : 단백질 합성, 포도당으로 글리코젠합성, 이산화탄소를 포도당으로 합성


이화작용 : 소화ㅡ 알코올 분해, 세포호흡등.  발열작용



에너지 전환과 이용 에너지 전환 빛=> 포도당 => atp


광합성ㅇ은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포도당을 합성하는 동화작용이며 장소는 엽록체에서 일어난다


세포호흡은 산로를 이용해 포도당을 산소와 물로 분해하는 이화작용으로 모든 생물에서 작용. 장소는 미토콘드리아



세포호흡과정 포도당 6물 = 6이산화탄소 6물 32에티피


생명활동은 단계적으로 분해해서 에너지가 방출되는 량을 조절한다. 


한번에 에너지를 뿜어낼 경우 한번에 막대한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세포를 파괴할 수 있다. 그러무로 단계적으로 일어나게된다.


ATP의 분해와 이용

1. ATP: 모든 생물이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물질 끝부분의 2개 이산결합은 7.3의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다.

  ADP로 변화할 때 인산결합이 떨어지니 확인.


2. ATP의 합성은 :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호흡 결과로 합성된다.


3. ATP에너지 : 에[너지가 필요한 생명 활동에 이용. 근육 수축 능동수송 ㅡ 물질합성(동화작용)<-여기도 쓰이네

                   신경신호전달. 발열 발광 발성


무산소 호흡

 1. 산소가 부족할 때는 포도당이 중간산물로 불완전하게 분해되며 2TP가생성된다.


 2. 종류론 알코올 발효(효모), 젖산발효(근육, 젖산균-유산균)가 있고

     알코올 발효의 경우 에탄올과 이산화탄소

     젖산 발효의 경우 2개의 젖산이 생성된다.



효모와 무산소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측정 할 때 솜마개로 입구를 막는 이유는 효모는 산소가 있으면 산소호흡을 하기 떄문에 산소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솜마개를 하면 왜 산소가 안들어가지? 그리고 이미 존재하는 산소는?

 결론적으로 이미 있는 산소로 산소호흡을 하고 많은 당류로 산소가 다 소모되면 그때 알코올 발효를 하도록 하는 것 같다.


아 ~ 실험에서 수산화 칼륨을 넣는데 이것이 이산화탄ㅅ와 반응한다고 한다.


맹관부는 홀??? 공기층을 말하는데 수산화칼륨을 넣는것으로 산소호흡의 결과 생성된 이산화탄소와 알코올 발효ㄱ와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소모?시켜주는 듯. 맹관부 기체가 이산화탄소인 것을 확인함.


-OH가 있으면 이산화탄소를 흡수.



생명활동과 에너지


소화, 순환, 호흡, 배설


1. 소화계 

  1. 소화의 목적 : 영양소의 분해, 이화작용  

     -지방산, 모도글리세이드. 포도당 정도로 줄어들어야 세포막을 통과해 체내 흡수 가능.

   2.소화계의 구성

      -소화관 : 입 , 식도. 위, THWKD, EOWKD, GKDANSDMF RHKS - 소화관 

      -부속기관 : 간 , 이자, 쓸개 등등등 

 간에서 쓸개즙을 만들면 쓸개즙에 저장 소장에 분비 이자도 마찬가지로 

  그리고 간은 !!! 소화기관이다!!!



 영양소 흡수 : 소장 내부에 있는 융털로 흡수

 -수용성 영양소 : 모세혈관

 - 지용성 영양소 ->암죽관

  흡수가 끝나면 순환계로 들어가 온몸으로 돌아다닌다.



2. 순환계

  -순환계의 구성 : 심장. 혈관, 혈액 등.

  - 순환계의 작용 : 영양소 이동, 산소 이동, 노폐물 운반, 항체 호르몬 등 운반.

  - 혈관의 종류와 혈액의 순환 

    1. 동맥(심장에서 나감), 정맥 9 심장에 들어옴) 모세혈관 ( 물지러교환)

       혈액의 순환  : 온몸의 세포에서 기체 및 영양소와 노폐물 교환 

  소순환 ( 폐) 체순환(대순환)



 간소장 콩팥 폐에 대해서 채크하면 되고


 당연한 것이지만 

 그 장기가 하는 일에 따라 농도가 많이달라짐

 심장을 거칠때 많은 것들은 영양소 ,노폐물, 산소 등등

 폐만 따로 봐야하는 이유는 예외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꿔서 주는 기관인 만큼 이산화 탄소를 쏜다고 보면된다.




간에서 포도당을 글리코덴으로 글리코젠을 포도당으로 바꿀 수 있으면

이는 식후 간문맥이라는 관을 통해 간으로 이동 혈당량을 조절한다. 참고로 소장에서 흡수하는 당은 포도당이며 

간에서 인슐린에 의해 글리코젠이라는 고분자 유기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 파트는 순서와 농도를 외운다기보단 역할을 외우는게 중요한 것 같음.



3. 호흡계

 구성 : 폐, 코, 기관, 기관지

 목적 : 산소공급, 이산화탄소 배출

 기체교환은 폐포에서 모세혈관으로 분압차에 따른 확산으로 공급되며

 그와같이 이산화탄소는 배출된다.


 ㅎ확산이기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없다.


4. 배설계


  배설계의 구성 : 콩팥 방광 오줌관 등

  세포에서 생성된 노폐물을 배설함.

  중요한건 세포에서 생성됐다는 거임

  똥은 흡수 후 남은 찌꺼기이므로 배설계에 해당하지 않음.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당 0.1% 삼투압 0.85

  

  탄수 지방 물. 이산화탄소

   단백질 -> 질소노폐물 + 물, 이산화탄소 간에서 암모니아를 -> 요소로 바꿈 요소는 고분자 화합물로 개인적으로 저분자인 암모니아가 세포에 자극을 더 주는 이유는 덩치가 커서 세포안으로 들어가지 않아서 그런게 아닐까 ㅅ행각함./



방광은 그냥 오줌 주머니일 뿐이고


콩팥은 신장으로 간에서 생성된 요소를 걸러서 오줌을 생성한다.


콩즙(유레이스)으로 요소 분해하기

BTB 노초파

     진동수가 높을수록 염기성이다


요소+유레이스 -> 암모니아+CO2 


이게 신기한게 요소는 중성이고 유레이스는 산성으로 보이는데  암모니아는 염기성임.

산성과 중성을 섞으면 염기성이 나옴. 화학적 작용이니 PH가 단순 합으로 되는게 아니란거~


기관계의 통합적 작용.은 그냥 앞내용으로 눈치껏 풀면 되는듯


1.간의 역할

  글리코젠(글루카곤) 포도당(인슐린) 

  체온 상승 (티록신)

  요소합성 ( 암모니아 -> 요소)

  쓸개즙생산 = 쓸개에 저장, 연육작용을 하너다.

  해독작용 ㅣ 알코올 분해.


2. 물질대사와 건강

  기초 대사량 :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대사량 체온유지에 가장 많이 쓰임

  활동 대사량 : 기초대사량 외에 신체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양

 

  1일 권장 영양분 탄 단 지 = 55~70: 7~20 : 15~30%



3. 대사성 질환 : 물질대사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 EX) 비만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당뇨병 : 혈당이 정상보다 높아 오줌에서 포도당 검출. 여러가지 합병증 일으킴

    고혈압 :ㅣ

   고지혈증: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다량 존재. 지질성분이 혈관과 내벽에 쌓여 혈관의 지름이 좁아져 동맥경화를 일으킴.






대사증후군 고혈 압 당 지혈증이 한사람에게 동시에 나타나는것.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