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력강화플랜- 찍어먹는 기술 50주제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69220839
안녕하세요 독서 칼럼 쓰는 타르코프스키입니다.
독서에서 특히 기술, 공학 관련 주제가 일반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어렵고 문제의 정답률이 낮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전문 용어의 난이도: 기술 지문은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는 전문 용어와 기술적 어휘가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CD 드라이브 지문에서는 "랜드", "피트", "광 검출기", "초점 조절 장치" 등과 같은 용어가 등장합니다. 이러한 용어는 비슷한 글을 읽어본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 긴 문장과 복잡한 구조: 기술 지문은 복잡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긴 문장과 복잡한 문장 구조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공된 지문에서는 CD 드라이브의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서 여러 개의 종속절과 연결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독해를 어렵게 만듭니다.
- 추상적인 설명: 기술 지문은 물리적 현상이나 기계적 작동 원리를 추상적으로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레이저 광선의 반사와 산란, 초점 조절의 원리 등은 학생들이 시각적으로 상상하기 어려운 개념일 수 있습니다.
- 기본 과학 지식 요구: 기술 지문을 이해하려면 물리학, 광학 등 기초 과학 지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이러한 배경 지식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지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사실 기술 지문은 주관적인 세계관이나 취향이 들어갈 여지가 적어서, 비슷한 글을 많이 읽어보면 비교적 쉽게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기술 지문에서 중요한 건 정보 그 자체이지, 어떤 권위나 학파, 관점이 개입되기 어렵습니다. 꼭 유명한 교수나 학자가 쓴 게 아니더라도, 여러가지 발명품들에 관해 잡식성으로 정보를 접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기술 지문에서 참고할만한 웹사이트로는 두 개 추천하려고 합니다.
1. Howstuffworks- 미국의 과학기술 작가 Marshall Brain이 만든 사이트 (https://www.howstuffworks.com/)
2. Explainthatstuff- 영국의 과학기술 작가 Chris Woodford가 만든 사이트 (https://www.explainthatstuff.com/)
실제로 Howstuffworks에서 설명한 CD 드라이브의 원리를 재구성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수능 국어 지문과 상당히 유사하기 때문에, 아래 원리를 읽어봤다면 문제 풀이에서도 큰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이하 CD)는 재료 과학과 디지털 인코딩이 정교하게 융합된 상징적인 결과물로, 두께 4/100인치(1.2 mm)의 폴리카보네이트 구조 안에 최대 783메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매체이다. 이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은 미세한 홈으로 정밀하게 형성되어, 디스크 중심에서 시작하여 외곽으로 뻗어 나가는 광범위한 나선형 트랙을 만들어 데이터 저장을 가능한 최적의 형태로 구현한다. 이 나선형 트랙은 폭 약 0.5마이크론, 인접 트랙 간격 1.6마이크론으로 이뤄져 있으며, 각 홈은 너비 0.5마이크론, 길이 0.83마이크론, 높이 125나노미터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기판의 구성요소는 '피트(pits)'와 '랜드(lands)'라 불리며, 이진 인코딩 체계의 근간을 이루는데, 피트는 이진 '0'을, 랜드는 이진 '1'을 대표한다. 피트와 랜드는 각기 다른 반사율을 가지며, 이는 CD 플레이어의 레이저가 이를 탐지하여 이진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트는 알루미늄 반사층에 움푹 들어간 모양으로 나타나며, 랜드는 평평한 상태로 남아 있어 빛의 산란을 통해 데이터의 대비를 극대화한다. 특히, 피트는 움푹 패인 구조와 불규칙성으로 인해 레이저 빛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시켜 센서로 돌아오는 반사광의 양을 감소시키는 반면, 랜드는 레이저 빛을 직접적으로 반사하여 산란이 최소화되고 강한 반사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피트와 랜드 간의 산란 차이는 이진 상태를 명확히 구분하여 정확한 데이터 판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인다. 이렇게 미세한 피트와 랜드의 조합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은 완전히 펼쳤을 때 약 3.5마일(5킬로미터)에 달해, CD 플레이어는 극도로 정밀한 읽기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이런 메커니즘에는 200에서 500rpm 사이로 속도를 조절하는 드라이브 모터, 데이터 트랙에 정확히 초점을 맞추는 레이저 및 렌즈 시스템, 그리고 나선을 정확히 따르기 위해 마이크론 단위로 조정 가능한 트래킹 메커니즘이 포함된다. 데이터 복구 과정에서는 레이저 빔이 폴리카보네이트 층을 통과해 알루미늄 층에 반사되고, 이 반사된 빛을 옵토-일렉트로닉 센서가 감지하여 피트와 랜드 사이의 반사율 변화와 빛의 산란을 분석함으로써 이진 정보를 판독한다.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인코딩 과정에서 8-14 변조(Eight-Fourteen Modulation, EFM)를 사용해 연속된 간격을 제거하고, 위치 정확도와 노래 제목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담은 서브코드(subcode) 데이터를 통합하며, 인터리빙(interleaving) 방법을 통해 단일 비트 오류와 버스트 오류를 완화하는 강력한 오류 수정 코드를 포함한다. EFM이란, 8비트 데이터를 14비트 패턴으로 변환하여 디스크에 저장하는 인코딩 기술이다. 또한, CD의 아키텍처는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CD-DA, 컴퓨터 데이터를 위한 CD-ROM, 향상된 청각 경험을 제공하는 슈퍼 오디오 CD(Super Audio CD, 이하 SACD) 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지원한다. 기록 가능한 CD-R(CD-Recordable)은 소프트웨어 기반 데이터 포맷팅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인코딩 과정을 간소화하였다. 피트와 랜드를 이용한 이진 인코딩 시스템과 빛의 산란 원리는 디지털 정보를 물리적 매체로 정확히 변환하여 독립적인 이진 데이터 표현과 회수를 보장한다. 물리적 설계, EFM과 같은 고도화된 인코딩 방법론, 그리고 정밀한 광학 구성 요소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디지털 스트리밍 기술의 부상에도 불구하고 CD의 지속적인 기능성과 용량을 뒷받침한다.
(https://electronics.howstuffworks.com/cd.htm#pt2)
문제는, 앞으로의 수능 시험에는 CD가 아니라 USB, Wifi, LTE 등 다른 새로운 무궁무진한 기술들이 출제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위 사이트에서는 아래와 같은 주제들을 적절한 교양 수준에서, 심지어 재미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ROM이란 무엇인가요? 컴퓨터에서 읽기 전용 메모리가 작동하는 방식>
<UPC 코드의 작동 방식>
<CPU를 오버클럭하는 방법>
<지오펜싱(Geofencing)의 작동 방식: 장단점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
<5G의 작동 방식> 등등.
기술 지문만큼은 여러가지 시각 자료들이 웹사이트에 많으니 적극적으로 검색해보시기를 권합니다. 물론 국어 시험에서는 텍스트로 나올테니, 한 문단으로 최적화해 재구성한 자료를 앞으로 제공해보려고 합니다.
전문 용어와 약자 익히기, 기초 과학 지식과 연결해보기, 시각화하고 사고실험 해보기, 구성요소의 이름과 관계에 주목하기, 익숙한 기계에 빗대어 이해하기를 염두에 두면서, 아래 텍스트를 독파해 보세요.
(예시 문제 1)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배터리)는 외부 전원의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독립형 시스템으로, 그 작동 원리는 중앙집중식 발전 시설에서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전력을 분배하는 재래식 전력망과는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배터리의 핵심 구조는 최소 하나 이상의 셀(cell)로 구성되며, 각 셀은 상이한 전기음성도를 지닌 두 개의 이질적 전극(electrode)과 전해질(electrolyte) 매질이 보호 외피 내에 밀봉된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한 전극에서는 전자의 방출이, 다른 전극에서는 전자의 수용이 발생하여 외부 회로를 통한 지속적인 전자의 흐름이 가능해진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의 이동은 전기 전류를 생성하여 연결된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며, 이는 반응성 화학 물질이 고갈될 때까지 지속된다. 루이지 갈바니(Luigi Galvani)와 알레산드로 볼타(Alessandro Volta)의 선구적 연구는 전해질 내 상이한 금속의 존재가 측정 가능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으며, 이는 레몬 전지와 같은 단순한 구조물에서도 확인된다. 셀 내부에서 전해질은 이온 전도체로서 기능하며, 전극에서 발생하는 산화환원 반응은 이온과 자유 전자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전자는 외부 회로를 순회하며 일을 수행한 후 음극으로 귀환하여 전해질 내 이온과 재결합함으로써 전기적 순환을 완성한다. 전해질의 절연성으로 인해 전자가 직접 통과하지 못하고 외부 회로를 경유해야 하는 특성은 배터리의 작동 메커니즘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학 반응과 전자 흐름 간의 정교한 상호작용은 배터리의 기능성을 구현하며, 물질 특성과 전기화학적 역학 간의 미묘한 균형을 반영한다. 결과적으로 배터리의 효율성과 수명은 전극 재료와 전해질의 특성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에너지 변환의 속도와 용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배터리 설계 과정에서는 반응물의 점진적 소모를 고려하여 성능 유지를 위한 재생 또는 교체 전략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소형 전자기기에서부터 전기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활용은 배터리가 현대 에너지 시스템에서 차지하는 중추적 역할을 방증한다. 이온 이동과 전자 전달의 근본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적 이해는 배터리 기술의 최적화를 통한 효율성 제고와 지속가능성 향상에 필수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더불어 배터리 화학의 지속적 진화는 에너지 밀도 증대, 환경 영향 최소화, 작동 수명 연장을 목표로 하는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배터리는 정교한 재료 과학과 전기화학 공학을 통해 화학적 잠재력과 실용적 전기 응용 간의 간극을 메우는 신뢰할 수 있는 휴대형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https://www.explainthatstuff.com/batteries.html#howwork ] 참조 및 재구성
- 갈바니와 볼타의 연구는 전해질 내 상이한 금속의 존재가 측정 가능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으나, 이는 현대 배터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여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배터리의 전극 간 전기음성도 차이는 전자의 방출과 수용을 유도하여 외부 회로를 통한 지속적인 전류 흐름을 가능케 하며, 이는 연결된 기기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의 기반이 된다.
- 전해질의 절연성은 배터리 작동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전자가 직접 통과하지 못하고 외부 회로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적 순환을 완성하고 배터리의 효율적인 에너지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 배터리의 성능 유지를 위한 재생 또는 교체 전략은 반응물의 점진적 소모를 고려해야 하지만, 최신 나노 기술을 활용한 자가 재생 배터리 시스템의 개발로 인해 이러한 전략의 필요성이 완전히 제거되었다.
- "힌트 1": 이 설명은 갈바니와 볼타의 연구가 현대 배터리 기술의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들의 발견은 현대 배터리 기술 발전의 토대가 되었으며,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도 적용되는 원리를 제시했습니다.
- "힌트 2": 이 진술은 현재 기술의 한계를 과대평가하고 있습니다. 자가 재생 배터리 기술이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모든 배터리 시스템에서 재생 또는 교체 전략의 필요성을 완전히 제거할 만큼 발전하지 않았습니다. 배터리의 수명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이 여전히 필요합니다.
(예시 문제 2)
마찰은 단순한 거시적 접촉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찰스 쿨롱(Charles Coulomb)이 1781년에 최초로 규명한 바와 같이,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s)에 의한 미세한 부착 현상에서도 발생한다. 이러한 미세한 상호작용은 도마뱀의 발이 벽면에 부착하는 능력에서 명확히 나타나며, 수백만 개의 미세한 털이 벽 표면과 반데르발스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집합적으로 도마뱀의 무게를 지탱할 만큼의 충분한 힘을 생성한다. 따라서 마찰은 접지력과 같은 유익한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에너지 손실과 재료 마모를 초래하는 해로운 요소로서 이중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마찰의 효과적인 조절을 위해서는 정밀한 윤활이 필수적이며, 이는 두 고체 표면 사이에 액체 윤활제를 도포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완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윤활은 윤활제가 유동성과 형태 변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미세한 거칠기를 완충하고, 층류 흐름을 촉진하여 윤활제 층이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이러한 유체 필름 또는 유체역학적 윤활(fluid-film or hydrodynamic lubrication) 개념은 오스본 레이놀즈(Osborne Reynolds)에 의해 개척되었으나, 실제 현실에서는 윤활제 층이 극히 얇아 경계 윤활(boundary lubrication)이 발생하며, 이 경우 표면 간의 상호작용이 여전히 지속될 수 있다. 경계 윤활은 특히 고부하와 저속 조건에서 중요하며, 기계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윤활제의 성능은 점도(viscosity)에 크게 의존하며, 점도는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저온에서는 윤활제가 더욱 점성이 높아져 고체에 가까워지고, 고온에서는 점도가 낮아져 보다 유동적으로 변한다. 또한, 압력 변화는 윤활제 점도에 지수함수적인 영향을 미쳐 다양한 작동 조건에서도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중한 조제가 요구된다. 따라서 윤활제의 설계는 마찰, 윤활, 마모를 연구하는 트리볼로지(tribology)의 포괄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며, 이는 기계 시스템에서 성능, 효율성, 내구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자가 윤활 차동 기어(self-lubricating differential gears)와 같은 첨단 윤활 시스템은 윤활유 펌프와 저장소를 통합하여 지속적인 윤활유 분배를 보장함으로써 기계의 정지를 방지하고 유지보수 시간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양한 속도, 온도, 압력 조건 하에서 최적의 윤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트리볼로지의 원리를 활용하여 기계적 무결성과 성능을 지속적으로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윤활제 특성과 기계적 요구 사항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은 현대 공학 응용에서 윤활의 결정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고성능 기계의 진화하는 도전에 부응하기 위해 윤활제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이 절실히 요구됨을 시사한다.
-윤활제의 점도는 온도와 압력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저온에서는 고체에 가까워지고 고온에서는 더 유동적으로 변하는데, 이러한 특성은 다양한 작동 조건에서 윤활제의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신중한 조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트리볼로지는 마찰, 윤활, 마모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이는 주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의 마찰 현상을 이해하고 모방하는 데 중점을 두어 기계 시스템의 효율성 향상에는 제한적인 적용만이 가능하다.
-자가 윤활 차동 기어는 윤활유 공급 없이도 지속적인 윤활을 가능하게 한다.
-마찰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체 표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불가피하다.
- "힌트 1": 윤활유 공급장치를 통합했으나, 여전히 윤활유 분배는 필수적이고, 윤활유 없이 마찰을 제거하는 장치가 아닙니다.
- "힌트 2": 마찰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비현실적이고 지문에 근거도 없으며, 직접 접촉은 마찰을 심화시키는 요인입니다.
(예시 문제 3)
식기세척기(dishwasher)의 작동 원리는 속도, 경제성, 청정도의 정교한 균형을 통해 최적의 위생 상태를 구현하는 데 있다. 이 기기의 핵심적 위생 성능은 수온 조절에 있는데, 특히 저온살균(pasteurization) 수준에 근접한 60°C의 온도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의 다수 연구에 따르면 수초에서 30분 이내에 병원체를 무력화시킨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60°C의 온도를 30분에서 60분간 유지하는 식기세척기는 미온수와 상대적으로 미약한 기계적 작용에 의존하는 재래식 수세 방식을 현저히 능가하는 위생 수준을 보장한다. 세정 과정의 핵심 요소인 특수 세제는 액상 또는 정제 형태로 투입되어 가열된 물과 결합함으로써 유지 및 유기 잔류물의 효과적 분해를 촉진한다. 이 세제의 화학적 구성은 극도로 정교한데, 수소화 삼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P)이 빌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빌더(builder)란 세제의 세정력을 증강시키는 보조제로, 물속의 칼슘과 마그네슘 이온을 제거하여 세제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이 부식 방지를,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이 산과 지방의 중화를, 염소 화합물이 살균 및 단백질 분해를,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이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기능하며, 여기에 비이온 계면활성제, 효소, 향료가 세정 성능을 증강시킨다. 더불어, 석회질 형성 억제와 내장 정수 필터의 효율성 유지를 위해 주기적인 식기세척기 전용 소금의 보충이 불가피하다. 안전성 측면에서, 세제 정제의 강한 부식성으로 인한 어린이의 손상 위험은 아동 보호용 포장과 화학 물질 농도 규제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작동 메커니즘은 전기 펌프와 금속 패들을 통한 가열수의 순환으로, 식기 전반에 걸친 포괄적 세정과 오염물 제거를 가능케 한다. 조세핀 코크란(Josephine Cochran)의 1888년 기계식 식기세척기가 확립한 기본 구조는 세척과 헹굼을 위한 별도 구획과 균일한 세정을 위한 식기 랙 회전 장치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현대 모델의 근간을 이룬다. 기술 진보에도 불구하고 수온 조절, 세제 활용, 기계적 교반이라는 기본 원리의 지속은 코크란의 원설계의 효용성을 방증한다. 현대의 식기세척기는 전기 동력과 고도화된 여과 시스템의 도입으로 효율성과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세제 내 화학 물질과 물 순환 및 온도 조절의 기계적 과정 간 상호작용은 식기 위생 유지에 있어 고도로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현한다. 한편, 에너지 소비와 화학 물질 배출 등 환경적 영향을 고려할 때, 청결성과 지속가능성의 균형을 위한 끊임없는 혁신이 요구된다. 요컨대, 식기세척기는 열역학, 화학 공학, 기계 설계의 복합적 통합을 통해 최적의 식기 위생을 달성하는 기술의 결정체다.
[https://www.explainthatstuff.com/dishwashers.html] 참조 및 재구성
- 식기세척기의 세정 과정에서 수소화 삼인산나트륨(STPP)의 빌더 기능은 세제의 효과를 증폭시키며, 이는 규산나트륨의 부식 방지 작용과 시너지를 일으켜 식기의 위생과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화학적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식기세척기 내부의 온도 조절 시스템은 온수의 온도를 세제의 구성요소들이 화학적으로 가장 활성화되는 온도에 맞게 조율함으로써 최적의 살균 효과를 달성한다.
- 식기세척기의 에너지 소비와 화학 물질 사용은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재래식 수세 방식에 비해 물 사용량을 현저히 줄이고 세척 효율을 높임으로써 장기적으로는 자원 절약과 환경 보호에 기여하므로,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오히려 더 바람직한 선택이 될 수 있다.
- 조세핀 코크란의 1888년 식기세척기 설계에서 확립된 세척과 헹굼을 위한 별도 구획 및 식기 랙 회전 장치의 기본 구조는, 현대 모델에서 전기 동력과 고도화된 여과 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진화하면서도 그 핵심 원리를 유지하고 있어 기술의 연속성과 혁신의 조화를 보여준다.
-"힌트 1": 세척기의 온도가 세제의 화학적 활성화 온도에 맞춰 조율된다는 내용은 근거가 없습니다. 오히려, 환경적 영향, 지속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온도는 화학적으로 가장 활성화되는 온도에 부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힌트 2": 이 설명은 식기세척기의 환경적 영향에 대해 일면적인 해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식기세척기의 에너지 소비와 화학 물질 배출 등 환경적 영향을 언급하고 있으며, 청결성과 지속가능성의 균형을 위한 끊임없는 혁신이 요구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자원 절약과 환경 보호에 기여한다고 단정 짓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끝으로 출제 가능한 기술 주제 50개를 댓글에 첨부하고, 향후 칼럼에서 각 주제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상훈T 문학론+유네스코하면 마닳이나 검더텅 문학 같은 거 굳이 살 필요없이...
-
대한항공·아시아나 기업결합 완료…'독점 우려' 딛고 통합 과제 2
내일 자회사 편입하고 내달 아시아나·자회사 대표 등 임원진 선임 '초대형 항공사'...
-
안녕하세요 지금 국내교환학생으로 고려대를 이번 학기에 다니는데 시험 정보랑 이런게...
-
독서에서 낚시 선지 빈도도 수능보다 높고 인문 지문 난이도가 에이어가 개화 지문보다...
-
19명 뽑는데 142등중에 20등 5칸 뜨네요 하………
-
술좀머것어 8
술은 많이 안먹고 안주를 많이먹었어 ㅋㅋㅋ
-
그래야만해요
-
첫사랑 만남 1
추억으로 남겨둡시다 바위를 들춰내서 벌레를 보지 말고
-
가능성 있음? 추합이랑 최초합 있네요
-
바로 바닥에 던져버리고 누워 지내기 손 아파 시댕
-
아니수험생커뮤에 11
안맞는게왜자꾸올라오는거야
-
제가 22학번입니다. 2022년 1학기 등록만 해놓고 학고반수를 했습니다. 그리고...
-
고1 내신대비 수학 11
이제 올라오네 게으름 반성합니다 함수 한문제부터 경우의까지고요 모 학교처럼 객관식...
-
야식 ㅇㅈ 7
즉석 쏘야
-
모고 5등급 나오는 노베인데 메가에서 강사 누구 들을지 추천 좀 해 주세요.ㅜ
-
정승제 커리 쭉 탔었는데 우진커리 보니 뉴런 하고 싶어짐 지금 이투스 패스 한달...
-
제가 진짜 착하게 살게요 제발 추합으로 피말려도 그러려니 할게요 붙여주세요 제발...
-
휴릅 5
내일까지휴릅
-
단톡에서 나빼고 롤체 5인팟 잡네...
-
삼도극 부활
-
3수 확정되면 16
꾸준글 부활 예정 복수하겠다 평가원
-
4년제인 이유가 모르긴해요. 대부분 정보를 전달받는다면(실습이 많은학과가...
-
한의대 합격인증! 11
농어촌 수시라 쪼금 언짢아하실 분이 계실까봐 눈치보다가 조심스레 올려봅니다(딱...
-
서울대내놔 6
계엄령 마렵네
-
문과 취업이 0
그렇게어렵나요???
-
수학 미적 30번 문제 보고 수험생들 적잖게 띠용했을 듯 ㅋㅋㅋㅋㅋㅋㅋ
-
22 28 30은 엔제로풀고 그거빼고 27문항만 시간재서 풀어도 되나요
-
조기졸업을 위해 4
담학기도 20학점을 들어야겠음..
-
외대 글캠이나 경기대 스나?로 쓸만할까요?(성적표첨부) 5
저런 레벨 학교에 스나라는 표현이 어울릴진 모르겠지만 질문드랴봐요 ㅠㅠ
-
내가 진짜 미적 272830을 못 푸는 병신이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가 싫네요 분명...
-
고속은 연두색뜨는데 진학사는 3~4칸 주는거면 진학사가 맞는거겟죠?
-
가볍게 합격선 몇 점 정도 될까요? ㅠ ㅠ
-
프사 10
어케 달아요?
-
화 미 영 동사 지구 77 92 2 96 94 인데 건국대랑 동국대 되는과가...
-
곧 올림 만약 참여하실분들 팔로우 일시적으로라도 걸어두시거나 이따 글목록...
-
근데 프사에 박으면 사람이 좀 경박스러워 보일 수 있으니까 배사에다가 슬쩍 올려놔야함
-
ㅇㅇ... 저거 나가면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인지라 못나감 대대장님 행보관님이...
-
고2 정시러고 현재 수 2는 수분감 풀고 있고 수1은 개념이 가물가물해 시발점 부터...
-
고깝게 보는 1인이지만 재밌어 보여서 나가보고 싶은 모순적인 인간
-
딴 거는 몰라도 도형 풀 때 스튜어트는 그냥 외우고 쓰세요 6
톨레미는 쓸 일 생각보다 안 나오던데 스튜어트는 많음
-
피램 독서만 해도 될까요. 문학,독서 피램해도 심찬우 t 강의랑 병행가능한가요 2
십몇년만에 수능 치는 n수입니다, 올해는 강기분 했는데 문학은 거의 강의 안들어도...
-
31211 라인 8
공대쪽 어디 대학 어디과까지 될까요....
-
인생웹툰이 되버린 ww
-
징계받으려나? 무시와 멸시는 모르겠는데 착취는 맞...
-
현역 64343 38 60 3 62 81 재수 23331 93 85 3 87 98...
-
애니추천좀 1
넷플에 있는걸ㄹㆍㄷ
-
전국뭉탱이연합이랑 전국유링게슝연합 2개정도 만들까...
-
밤샘fmㄱ? 2
빨리 리그경기하고싶음뇨
<출제 가능한 주제 목록 50>
1. 암호화폐의 분산 원장 기술과 블록체인(Blockchain Technology)의 원리
2.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과적합 방지 방법과 교차 검증(Cross-Validation Techniques)
3.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가상화 기술과 응용
4. 양자 컴퓨팅(Quantum Computing)의 양자 비트(Qubit: Quantum Bit) 처리 방식
5. 컴퓨터 그래픽스에서의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기법
전기공학 분야:
6. 전력망의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Technology) 기술과 에너지 효율화
7.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 전력점 추적(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알고리즘
8. 무선 충전 기술의 자기 유도와 자기 공진 원리(Wireless Charging via Magnetic Induction and Resonance)
9. 신호 처리에서의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과 응용
10. LED 조명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작동 원리
기계공학 분야:
11. 내연기관의 열역학 사이클과 효율 향상 기술
12. 유체역학에서의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와 층류 및 난류
13. 로봇 공학에서의 역기구학(Inverse Kinematics)과 로봇 제어
14. 3D 프린팅(Additive Manufacturing)의 적층 제조 기술
15. 음향 공학에서의 소음 저감 기술과 흡음재 설계
토목공학 분야:
16. 지진 공학에서의 내진 설계 기준과 감쇠기(Damper) 기술
17. 교량 공학에서의 사장교(Cable-Stayed Bridge) 구조와 안정성
18. 토목 구조물의 피로 분석과 수명 예측 방법
19. 스마트 시티(Smart City)의 인프라 관리와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
20. 지반 공학에서의 토양 안정화(Stabilization) 기법
화학공학 분야:
21. 촉매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와 효율 향상 방법
22. 공정 공학에서의 연속 공정과 배치 공정(Batch Process) 비교
23. 나노 입자의 합성과 나노소재(Nanomaterials)의 응용 분야
24.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전환 기술
25. 환경 공학에서의 폐수 처리와 생물학적 정화(Bioremediation)
생명공학 분야:
26. 인공 장기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과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
27.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Brain-Computer Interface)의 신경 신호 처리 방법
28. MRI(자기 공명 영상)의 핵 자기 공명(Nuclear Magnetic Resonance) 원리와 영상화
29. 유전자 편집 기술의 CRISPR-Cas9 시스템과 응용
30.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센서 기술과 데이터 분석
항공우주공학 분야:
31. 항공기 날개의 양력 생성 원리와 공기역학적 설계
32. 로켓 추진 시스템의 액체 연료와 고체 연료 비교
33. 위성 통신의 지구 정지 궤도(Geostationary Orbit) 특성
34. 드론의 자율 비행을 위한 항법(Navigation) 기술
35. 우주 탐사용 로버(Rover)의 이동 메커니즘과 제어
재료공학 분야:
36. 그래핀(Graphene)의 전기적 특성과 응용 가능성
37.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의 작동 원리와 응용
38. 복합 재료(Composite Materials)의 기계적 특성과 제조 방법
39. 반도체 소자의 PN 접합(PN Junction)과 다이오드 작동 원리
40. 초전도체(Superconductor)의 임계 온도와 자기 부상(Levitation) 원리
환경공학 분야:
41. 대기 오염 물질의 제거를 위한 촉매 변환기(Catalytic Converter) 기술
42. 재생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배터리 기술과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
43. 해수 담수화(Desalination)의 역삼투압(Reverse Osmosis) 공정
44. 탄소 포집 및 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의 원리와 적용
45. 스마트 그린하우스(Smart Greenhouse)의 환경 제어 시스템
로봇공학 분야:
46. 인간-로봇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tion)과 안전 설계
47. 자율 주행 자동차의 센서 융합(Sensor Fusion) 기술
48. 로봇 비전(Robot Vision)의 패턴 인식과 머신러닝 응용
49. 소프트 로보틱스(Soft Robotics)의 유연한 구동기(Actuator) 설계
50. 군집 로봇(Swarm Robotics)의 분산 제어 알고리즘과 응용 분야
선생님께서는 어떻게 이런걸 다 아시는지 궁금합니다…
흔히 서울대에서도 어나더 레벨이라 불리는 분들 중 한 분이 선생님이 아닌가 생각듭니다.
혹시 실례가 안된다면 선생님의 유년기부터 학창시절 시기의 학습은 어땠는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수험생 시절에는 접할 수 있는 자료에 한계가 있었고 항상 갈증이 있었는데.. 대학(원) 도서관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대한 세계를 경험하고 나서 많이 배웠습니다. 좋은 컨텐츠, 자료를 수험생 눈높이에서 가공, 배포해주는 중개자가 많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