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텅이 [1293859] · MS 2024 · 쪽지

2024-10-07 10:05:47
조회수 2,631

국어는 재능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69402184

국어 못하는건 노력으로 올리기 힘든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바보탑이 관악산에 있을 가능세계 · 1160764 · 10/07 10:07 · MS 2022

    재능이 없는 것도 정도의 차이가 있으니 사바사지만
    웬만하면 올릴 수 있다고 봐요

  • 김민규⠀ · 1339466 · 10/07 10:14 · MS 2024

    서울대가 이런말하니까 좀 그래요

  • 멍텅이 · 1293859 · 10/07 10:15 · MS 2024

    학원 알바하는데 국어 2도 안나오는애들이 많아서
    다른 사람들 생각이 궁금해서요

  • 김민규⠀ · 1339466 · 10/07 10:19 · MS 2024

    뭐.. 일단.. 재능 있어도 전혀 안하면 재능도 쓸모가 없겠지만

    그래도 개인적으로 재능있을때 없을때 비교했을때
    재능 있는 친구가 훨씬 적은333양으로 승부봐도 높1이나 표100이 뜨는건 맞는것같아요
    그러니까 재능있는 친구가 3정도 하면 재능이 없는 친구는 10정도는 해야한다는거죠..
    근데 이 10을 제대로 하는 애들이 별로 없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어요..?

    전혀 올릴수가 없다는게 아닙니다.. 상대적으로 더 큰 노력이 필요할 뿐

  • 션 오말리 · 1258222 · 10/07 10:27 · MS 2023

    재능 없으면 국어 올리기가 제일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 페레이햄 · 1304486 · 10/07 10:40 · MS 2024

    올리는게 불가능은 아니지만 가장 힘들다고 생각해요

  • 테드ㅇ3ㅇ · 1267153 · 10/07 10:44 · MS 2023

    나는 원래 1이어서 모른다 ㄱㅁ

  • 942etg11 · 1297242 · 10/07 11:00 · MS 2024

    저는 현재 고1인데 중3때 모고 국어 28점 나왔어요 고1 들어와서 국어모고 봤는데 거의 같은 점수가 나외서 한 5개월 정도 박광일 선생님 30분씩 2지문 하는 책을 사서 매일 소설 2개, 고전소설 2개 고전시가 2개 지문 6개씩을 읽고 있는데 9모에 60점이 되었네요

    책을 읽어본 적이 없었는데 요즘 글을 읽는 재미가 조금 생겼어요
    재능도 읽기를 매일 하면서 생긴 게 아닐까요

  • Sha'Carri Richardson · 1286122 · 10/07 11:01 · MS 2023

    제대로 하면 오르는데 근본적인 글을 읽는 방식을 바꾸지 않고 너무 피상적으로 접근하는듯

  • 942etg11 · 1297242 · 10/07 11:09 · MS 2024

    시, 소설, 고전시가, 고전소설, 비문학 다 읽는 방법이 달라서 어렵네요 지금은 한자 공부하면서 고전시가, 고전소설 읽고 있는데 한자를 다 배우고 하니깐 쉽게 느껴져요
    소설까지는 어떻게 하겠는데 비문학은 아직까지 넘사벽입니다.

    누나는 수능국어 공부를 전혀 하지 않았는데 높은 1등급 받아서 서울대 갔는데
    저는 왜 이럴까요 글씨 읽기부터가 힘들어요

  • Sha'Carri Richardson · 1286122 · 10/07 14:14 · MS 2023

    긴 글을 읽을때 잘하는 사람이 어떻게 접근하는가 보고 배우세요 현대소설이든 고전수필이든 비문학이든 핀트는 약간 다르겠지만 잘하는 사람은 절대 모든 내용을 이해하거나 기억하려 하지 않습니다 강약을 조절하는거지요. 비문학은 대성마이맥 김민경 문학은 정석민 추천드려요

  • 항상겸손해라깝치지말고 · 1001334 · 10/07 11:13 · MS 2020 (수정됨)

    수능 국어가 유독 타 과목에 비해 재능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이유가, 수능 국어는 다른 수능 과목 영역에 비해 근본적으로 한 차원 높은 과목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과목 이름만 '국어영역' 이지 한국어 문해력을 포함해서 전반적인 사고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수학이나 탐구과목처럼 "오늘 오후 1시~5시까지 빡집중해서 공부하자" "오늘 진도는 여기여기까지" 와 같은 것이 아니라 그냥 사람 자체가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글자와 거리가 멀었던 학생의 경우 저렇게 수학, 탐구 공부하듯이 일정 시간에 집중해서 공부한다기 보다는 사람 자체가 활자와 친해지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서 놀 때 조차 라노벨을 읽는다던가 등등

  • Si vales bene, valeo · 1118041 · 10/07 11:26 · MS 2021

    특정 방법론으로 고정된 과목이 아니라 재능론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 같아요. 수학이나 탐구는 대다수가 문제 풀고 나오는 개념이랑 유형을 익힌다, 이런 느낌이라면 국어는 사람이 100명이면 100가지 방법이 있는 느낌..?

    결국 국어라는 과목은 '이해' 하나면 다 뚫어낼 수 있다보니 어떻게 이해를 하는지가 사람마다 다르고, 사고 과정의 깊이도 다를 수 있고요.

    비슷한 이야긴데 언어 재능도 너무 다양해서... 그냥 태생부터 모든 글 구조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사람도 있을거고, 저같은 케이스는 원래부터 텍스트랑 친한 편이라 책을 읽을 때 장면화나 이해가 잘 되길래 어릴때부터 읽은게 크게 도움 된 것 같아요.

    텍스트에 친숙해지고 기존 사고방식을 바꾸는 원론적인 접근만 할 수 있다면 재능 없이 1까진 충분히 가능할 것 같아요. 일단 전 과외생들한테 이렇게 설명해주는 편이에요.

  • Si vales bene, valeo · 1118041 · 10/07 11:28 · MS 2021

    + 글을 읽는 태도나 사고 과정을 습득하는게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이미 그걸 습득한 고득점자들은 쉬다가 기출 몇 지문 보고도 1정도는 나오는 것 같아요.

  • 부자되고싶다 · 1115643 · 10/07 11:57 · MS 2021

    사고를 교정하는 수준이 아니라 진짜 변혁적으로 뜯어고쳐야 하다보니.. 그 과정이 힘들어서 그런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