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잡지식 54 : 한글 창제 이전의 한국어
게시글 주소: https://a.orbi.kr/00056519702
종종 '한글=한국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꽤 있죠
하지만 한글은 문자의 일종이고, 한국어는 언어의 일종입니다
한글과 한국어가 같은 말이라면, 우리 조상들은 제대로 된 말 없이 살았다는 게 되니까요.
그럼 한글 창제 이전에는 한국어를 표기했느냐?
이두, 구결, 향찰 등등 여러 가지 들어보셨겠지만
대전제는 거의 동일합니다.
바로 '한자의 뜻이나 음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한다.'라는 것이죠.
현재의 일본어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본어에서 지금까지 훈독과 음독을 나누는 것처럼, 옛날에는 그런 식으로 한국어를 표기한 거죠.
(이 때문에 고대 한국어 표기법과 일본의 가나 사이의 연관성이 있을 거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요건 제가 잘 몰라서 넘어가는 걸로 하죠)
하나 정도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삼국유사>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옵니다.
"원효가 (경주) 남산에서 내려와 문천을 걸었는데, 이 문천은 사천, 또는 연천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문천이 사천이고, 사천이 연천이라는 겁니다.
한 장소를 가리키는 말이라기엔 너무 이질적이라는 생각이 들죠
여기서 고대 한국어의 시각을 적용해 보도록 합시다.
사천은 모래 사(沙) 자에 내 천(川) 자를 쓰고,
연천은 해 년(年) 자에 내 천(川) 자를 씁니다.
사천의 '사' 자는 '새' 정도의 발음이 났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연천의 '연' 자를 뜻으로 읽으면 '해'가 됩니다.
('천' 자도 뜻으로 읽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면 '새내'와 '해내'가 되었군요.
지역적 배경까지 더해보겠습니다.
경상도 방언에서는 ㅅ과 ㅎ의 발음의 경계가 희미한 양상이 나타납니다.
(형님을 성님이라 한다던가, 힘을 심이라 한다던가...)
그럼 두 단어의 발음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게 되죠.
그렇기에 뜻도 음도 완전히 달라 보이는 '사천'과 '연천'이 동일한 개천을 가리키는 말로 통하게 된 것입니다.
...어떤가요
왜 세종대왕님께서 한글을 창제하려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나요?
오늘은 어린이날이지만, 세종대왕님 만세 외쳐보겠습니다
----------여기부터는 사족----------
그럼 '문천'과 '새내' 사이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문천의 '문' 자는 'ᄆᆞ' 정도의 발음이 났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옛말로 '새'는 동쪽을 의미했고, 'ᄆᆞ'는 남쪽을 의미했거든요.
(동풍을 '샛바람', 남풍을 '마파람'이라고 부른다는 걸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해당 개천은 경주 월성을 기준으로 동쪽에 있는 토함산에서 물길이 시작됩니다.
그러니까 '새내'라고 불렸던 거구요.
해당 개천이 월성 근방을 지날 때쯤엔 월성의 남쪽을 흐릅니다.
그러니까 'ᄆᆞ내'라고 불렀던 거에요.
대충 아래 그림 느낌
* 제 전공 분야는 아니라 오류가 있을 수 있슴미다 오류 지적 환영
[오늘의 역사 잡지식 1 : 서동요와 선화공주] https://orbi.kr/00037641895
[오늘의 역사 잡지식 2 : 축성의 달인 가토 기요마사] https://orbi.kr/00037667479
[오늘의 역사 잡지식 3 : 진평왕의 원대한 꿈] https://orbi.kr/00037964036
[오늘의 역사 잡지식 4 : 앙리 4세의 유언] https://orbi.kr/00037996176
[오늘의 역사 잡지식 5 : 신항로 개척과 임진왜란] https://orbi.kr/00038174584
[오늘의 역사 잡지식 6 : 일기토] https://orbi.kr/00038313181
[오늘의 역사 잡지식 7 : 라스카사스 - 반식민운동과 노예 장려] https://orbi.kr/00038777847
[오늘의 역사 잡지식 8 : 동방의 예루살렘, 한국의 모스크바] https://orbi.kr/00039353742
[오늘의 역사 잡지식 9 : 마라톤 전투의 뒷이야기] https://orbi.kr/00039446583
[오늘의 역사 잡지식 10 : 투트모세 4세의 스핑크스 발굴] https://orbi.kr/00039547389
[오늘의 역사 잡지식 11 : 천관우-한국사학계의 먼치킨] https://orbi.kr/00039562829
[오늘의 역사 잡지식 12 : 연천 전곡리 유적] https://orbi.kr/00039716742
[오늘의 역사 잡지식 13 : 고대 문자의 보존] https://orbi.kr/00039737161
[오늘의 역사 잡지식 14 : 쿠릴타이=만장일치?] https://orbi.kr/00039810673
[오늘의 역사 잡지식 15 : 러시아의 대머리 징크스] https://orbi.kr/00039858565
[오늘의 역사 잡지식 16 : 데카르트를 죽음으로 이끈 여왕] https://orbi.kr/00039928669
[오늘의 역사 잡지식 17 : 권력욕의 화신 위안스카이] https://orbi.kr/00040043207
[오늘의 역사 잡지식 18 : 간단한 기년법 정리] https://orbi.kr/00040188677
[오늘의 역사 잡지식 19 : 4대 문명이라는 허상?] https://orbi.kr/00040209542
[오늘의 역사 잡지식 20 : 토머스 제퍼슨의 토루 발굴] https://orbi.kr/00040310400
[오늘의 역사 잡지식 21 : 그들이 생각한 흑사병의 원인] https://orbi.kr/00040332776
[오늘의 역사 잡지식 22 : 홍무제랑 이성계 사돈 될 뻔한 썰] https://orbi.kr/00040410602
[오늘의 역사 잡지식 23 : 영정법의 실효성] https://orbi.kr/00040475139
[오늘의 역사 잡지식 24 : 상상도 못한 이유로 종결된 병자호란] https://orbi.kr/00040477593
[오늘의 역사 잡지식 25 : 상나라의 청동 기술] https://orbi.kr/00040567409
[오늘의 역사 잡지식 26 : 삼년산성의 우주방어] https://orbi.kr/00040800841
[오늘의 역사 잡지식 27 : 익산이 백제의 수도?] https://orbi.kr/00040823486
[오늘의 역사 잡지식 28 : who is 소쌍] https://orbi.kr/00040830251
[오늘의 역사 잡지식 29 : 석촌동의 지명 유래] https://orbi.kr/00040841097
[오늘의 역사 잡지식 30 : 광개토왕비(1) 재발견] https://orbi.kr/00040874707
[오늘의 역사 잡지식 31 : 광개토왕비(2) 신묘년조 발견] https://orbi.kr/00040947507
[오늘의 역사 잡지식 32 : 광개토왕비(3) 넣을까 말까 넣을까 말까 넣넣넣넣] https://orbi.kr/00040958717
[오늘의 역사 잡지식 33 : 쌍팔년도] https://orbi.kr/00040959530
[오늘의 역사 잡지식 34 : 광개토왕비(4) 여러분 이거 다 조작인 거 아시죠?] https://orbi.kr/00040970430
[오늘의 역사 잡지식 35 : 광개토왕비(5) 텍스트의 한계를 넘어] https://orbi.kr/00040997516
[오늘의 역사 잡지식 36 : 발해 왕사 미스터리] https://orbi.kr/00041005448
[오늘의 역사 잡지식 37 : 도조 히데키의 마지막 작전] https://orbi.kr/00041049555
[오늘의 역사 잡지식 38 : 수상한 반란] https://orbi.kr/00041114108
[오늘의 역사 잡지식 39 : 숨겨진 전쟁, 2차 여요전쟁] https://orbi.kr/00041175117
[오늘의 역사 잡지식 40 : 중국에서 발견된 단군신화?] https://orbi.kr/00041200103
[오늘의 역사 잡지식 41 : 홉스 왕립학회 짤린 썰] https://orbi.kr/00041234691
[오늘의 역사 잡지식 42 : 이사부의 성씨] https://orbi.kr/00041392205
[오늘의 역사 잡지식 43 : 대통령이 된 과학자] https://orbi.kr/00041412750
[오늘의 역사 잡지식 44 : 고구려의 국성은 해씨?] https://orbi.kr/00041584826
[오늘의 역사 잡지식 45 : 가톨릭 두쪽나다, 아니 세쪽?] https://orbi.kr/00041754585
[오늘의 역사 잡지식 46 : 이 성유물을 거짓이다!] https://orbi.kr/00041867048
[오늘의 역사 잡지식 47 : 슬픈 변경] https://orbi.kr/00041921792
[오늘의 역사 잡지식 48 : 사냥꾼인가 처리반인가] https://orbi.kr/00041987200
[오늘의 역사 잡지식 49 : 장수의 비결?] https://orbi.kr/00042601633
[오늘의 역사 잡지식 50 : 광해군의 중립 외교?] https://orbi.kr/00043677568
[오늘의 역사 잡지식 51 : 프리드리히의 비밀] https://orbi.kr/00054442499
[오늘의 역사 잡지식 52 : 원쑤가 된 북한과 중국] https://orbi.kr/00054997784
[오늘의 역사 잡지식 53 : 흔한 국왕의 드립력] https://orbi.kr/0005639407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필러라도 맞고싶은데 무서움 ㅋㅋㅋ큐
-
3년째 사용중이네 ㅅㅂㅋㅋ 얼마있는거지
-
이미지 써주세요 8
으흐흐
-
인지도, 인식, 대학평가 등등 고려하면 거의 급간 3개는 손해본 기분임
-
스블 수1/강기분 언매/생윤 리밋 너무 밀림..
-
가,나,다 싹다 냥대로 썼는데
-
1학년땐 뭣도 모르고 그냥 살아서 그저그런 생기부 나왔다 고된 학교생활 하면서...
-
왜 밤만되면 쌩쌩해지지 으악
-
똥글 싸주세요 17
헤으응
-
자러갈개 5
오늘새벽도 재밌었어 일어나서 보자
-
태블릿으로 공부하는거 안 좋나요? 국어 영어 지문 같은거 읽고 푸는데 종이에 비해...
-
경북대 2026 정시요강인데 공대 높과 (전자공) 목표로 하고 언확생사로 시험 볼...
-
맞팔하실분 3
계신가요
-
고옯고옯 울었어
-
재종 개강하기 전까지 그냥 놀기로햇는데 술먹어볼까 무서운데
-
예비4번 쪽지 7
고전짤
-
여러분 다들 사랑해요~~오르비는 다들 기만질 현생에서 하면 손절당하니까 사이버상에서...
-
지방대 다 포함해서
-
아쉬워도 자러가기 화사하게 자러가기 행복하게 자러가기
-
당장 뛰처나가서 저 불법세력들에게 성난 수험생의 준엄함을 보이고 싶다. 내 고려대 내놔 반역자들아
-
빨리닉바꾸고싶다 2
누가덕코안떨궈주나..
-
왜먹지
-
1. 사탐 2개 봤을 때 어디가 더 가기 힘든가요? ( + 국어는 백분위 98...
-
내일올개용
-
행복하세요 5
-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뜬다 힘내라 요단!!! 니만힘든거아니다절대 잘하자
-
진짜 많이 했었는데 초딩때
-
나 말고 있으려나 ㅋㅋㅋ
-
사실 개미털기는 성공 아닐까
-
ㄱㄱㄱㄱㄱㄱ
-
왜 이런게 궁금하지
-
홍익대 지금 진학사 점공에 동점자 처리 되어 있는건가요 ??
-
닉변
-
금테 디버프밖에 없는데 11
ㄹㅇ임
-
현장자료?? 0
정석주간지 가지고 싶다 ㅜㅜ 이번 거 ㅈㄴ 좋다던대 ㅜㅜ 제발 팔아줘
-
3순환 1
배기범 3순환 3권 다 풀면 배기범 뒤에 커리 건들지도 못할 거 같은데 3순환 다...
-
수학 포기한 생윤사문 담요단중에 생윤 목표 낮고 사문에 올인이 많을까 사문 도표버린...
-
여기 어디 대학일까요.. 친친스토리로 올라와ㅛ는데 졸라 궁금함 오늘 발표난 곳 같던데
-
하아아ㅏㅏ~~ 미래 생각하니 쉽지않다
-
ㅋㅋㅋㅋㅋㅋㅋㅋ 0
저 사실 여르비고 이대의대갈건데 성전환하고 이대의대 가고싶다 붙여줘라
-
거울봣는데 2
만족스러워
-
잠수타는거머임,,, 어이 입금한다며 왜 계좌만 받고 답이없어 이미포장했다고ㅡㅡ...
-
시계 없으니까 불편해서 사고 싶은데…… 스마트우ㅏ치 사면 잘 쓰심뇨? 애플워치 너무...
-
내가 의대간다면 2
핵물리학과 감 ㅇㅇ
-
나이키
-
에효
-
4 넘어가면 힘들단말야
하나이면서 하나가 아닌… (새내라 쓰고 해내라 읽는다…? 반댄가…)
저 이런게 너무 재밌어서 언어학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이 가더라구요,, 언어학과 가면 되게 재밌을듯
저도 언어학 관심이 꽤 있긴 한데, 여기 와서 보니 고대사 연구할려면 하기 싫어도 해야 겠더라구요